[뉴욕 증시 마감] 28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주요 3대 지수가 일제히 상승하며 FOMC 결정을 앞둔 투자 심리를 반영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3% 오른 4,XXX.XX,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4% 상승한 34,XXX.XX, 나스닥 100 지수는 0.74% 오른 15,XXX.XX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파생상품 시장에서도 12월물 E-미니 S&P 선물이 0.31%, E-미니 나스닥 선물이 0.83% 오르며 현물 지수 랠리를 거들었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29~30일 개최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와 동시에 양적긴축(QT) 중단이 발표될 가능성을 100%에 가깝게 반영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유동성 공급 재개가 주식·채권 가격을 지지할 것이라는 기대 속에 적극적으로 위험자산을 편입했다.
미 국채 금리 및 경제 지표 동향
같은 날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0.6bp 내린 3.974%를 기록했다. 채권가격에는 FOMC 완화 기대 외에도 예상보다 견조했던 경제 지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는 –4로 시장 예상치(–12)를 상회했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으로 전월(95.6)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전망치(93.4)보다는 양호했다. 주택시장에서도 8월 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0.1% 하락을 전망했던 컨센서스를 뒤집었다.
정책 기대 – 금리·QT·점도표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 범위를 3.75~4.00%로 인하할 가능성을 100% 반영하고 있다. 또한 12월 9~10일 차기 회의에서도 추가 –25bp 인하(90% 확률)를 기대하며, 2026년 말까지 총 115bp 누적 인하를 가격에 반영 중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경제전망요약(SEP)과 점도표가 공개되지 않기 때문에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이 사실상 유일한 가이던스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시장 관심은 ‘언어적 힌트’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QT 중단은 연준이 보유자산 만기 도래분을 더 이상 재투자하지 않겠다는 기존 방침을 접고, 유동성 유출을 중단하겠다는 의미다. 이는 주식·채권 동시 랠리로 이어질 수 있다.”
미·중 무역협상 훈풍
전일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 미·중 실무협상에서 양측이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는 소식도 위험선호를 자극했다. 30일 APEC 정상회의(한국, 부산) 계기에 열리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에서 공식 발표가 예상된다. 스티븐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11월 1일로 예정된 대중 100% 관세 위협이 사실상 철회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을 1년간 시행하지 않고, 미국산 대두 ‘대규모’ 구매 의사를 내비쳤다. 양국은 선적비용·펜타닐 단속·틱톡 접근성 등에서도 실무적 진전을 이뤘다.
Earnings Season – ‘매그니피센트 세븐’ 주목
이번 주는 S&P500 구성 종목 173곳이 실적을 발표하는 슈퍼 어닝스 위크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가 29일(수), 애플·아마존이 30일(목)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84%가 예상을 웃돌아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을 기록 중이나, 3분기 순익 증가율은 7.2%로 2년 만에 최저이며 매출 증가율도 5.9%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캐나다 통상 갈등 및 법적 변수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정부의 ‘반(反)관세’ 광고에 대한 보복으로 대(對)캐나다 10% 신규 관세를 부과했다. 업계는 11월 5일 미 연방대법원의 구두변론 결과에 주목한다. 하급심은 이미 ‘상호관세’가 비상사태 권한을 오남용한 위헌적 조치라고 판결했으며, 대법원이 이를 확정하면 2026년 초까지 관세 환급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 5주차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에 돌입하면서 주간 실업수당 청구·고용·무역·소매판매·생산 지표 등 주요 통계가 지연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이는 연준의 완화 기조를 지속시키는 배경 요인이 될 수 있다.
해외 증시 동향
유럽 Stoxx50 지수는 0.12%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1.18% 급등 이후 0.22% 하락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전일 2.46% 강세 뒤 0.58% 하락했다.
채권·스와프 시장
12월물 10년 만기 미국채 선물은 2.5틱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0.8bp 오른 2.623%,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0.1bp 내린 4.400%를 기록했다. 스와프시장은 10월 30일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만 반영하며 사실상 동결을 전망한다.
주요 종목 움직임
‘매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알파벳(GOOG)이 0.50% 하락한 것을 제외하면 전 종목이 상승했다. 엔비디아(NVDA)는 4.9%,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1.9% 각각 상승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재편된 OpenAI 지분 27%(약 1,350억 달러)를 확보한다고 발표해 호재가 됐다. 엔비디아는 신형 AI 칩과 양자컴퓨터 연동 시스템을 공개하며 “차세대 칩 매출이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반도체 업계 전반은 차익 실현에 주로 눌려 혼조세를 보였다.
UPS는 조정 주당순이익(EPS) 호조에 7.9% 급등했고, 레제네론 파마슈티컬스는 매출 서프라이즈로 나스닥100 내 최고 상승률(11%↑)을 기록했다. 반면 D.R. 호턴은 실적 부진으로 2.9% 하락, 로열 캐리비안은 8% 넘게 급락했다.
실적 발표 예정(10월 28일)
CVS헬스, ITT, 펜스케 오토모티브, 에이새브, 에츠시, 팀켄, 아이오니스 파마, 필립스66, 아이덱스, 버투파이낸셜, 실갠홀딩스, 센틴, OGE에너지, 포티브, 가민, 보잉, 헤이워드홀딩스, 왓스코, 플렉스, 게이츠인더스트리얼, GE헬스케어, 아반토, 올드도미니온, 프로스퍼리티뱅크셰어스, ADP, 클래리베이트, 크래프트하인즈, 레오나르도DRS, 베리스크, 오티스, TE커넥티비티, 파이서브, 사이트원, 레이놀즈컨슈머, 클린하버스, 리틀퓨즈, 애브넷, 니소스, 제너랙, 엔터지, 코그니전트, 스머핏웨스트록, 유나이티드테라퓨틱스, 버라이즌, 캐터필러, 에버코어, 시보드, 오시코시, 마스코, 커비, 얼라인, 치폴레, EPR프라퍼티스, 메르카도리브레, MGM, FMC, 해노버인슈어런스, 에베레스트그룹, 엑스트라스페이스, CH로빈슨, 코그넥스, 아메리칸워터웍스, 선커뮤니티스, 미드아메리카아파트먼트, 이베이, 코카콜라컨솔리데이티드, 타일러테크놀로지스, 데이포스 등이 예정돼 있다.
용어 해설
FOMC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를 뜻한다. 양적긴축(QT)은 Fed가 보유 중인 국채·MBS 등 자산의 만기 도래분을 재투자하지 않아 대차대조표를 축소하는 정책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해 긴축 효과를 낸다. 반대로 양적완화(QE)는 자산을 매입해 유동성을 공급한다.
전망과 시사점
필자는 FOMC가 실제로 QT 중단을 선언할 경우 유동성 환경이 빠르게 우호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본다. 다만 3분기 실적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어, 연준의 완화적 스탠스가 기업 실적·소비 둔화를 상쇄할 수 있을지가 향후 주가 방향성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판단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