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마감] 주요 지수, FOMC 결정을 앞두고 소폭 상승
29일(현지시간)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0.23% 오른 5,123.45에,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34% 상승한 38,912.24에, 나스닥 100 지수는 0.74% 상승한 18,234.56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12월물 E-미니 S&P 500 선물은 0.31%,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83% 올랐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회의에서 비둘기파(dovish) 스탠스가 확인될 것이라는 기대감 속에 주식을 매수했다. FOMC가 -0.25%p 금리 인하와 함께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QT) 중단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시장을 지지했다.
채권 시장에서도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0.6bp 하락한 3.974%를 기록하며 주가 상승을 거들었다. 같은 날 발표된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와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가 예상을 웃돌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된 점도 위험자산 선호를 부추겼다.
연준 금리 전망
파생상품 시장 가격에 따르면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 목표범위가 3.75~4.00%로 25bp 인하될 가능성은 100%로 반영돼 있다. 또한 12월 9~10일 열리는 다음 회의에서도 추가 25bp 인하가 이뤄질 확률이 90%로 집계됐다. 시장은 2026년 말까지 총 115bp의 추가 인하가 단행돼 실효 연방기금금리가 2.95% 수준까지 내려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점도표(dot plot)를 포함한 ‘경제전망 요약(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이 공개되지 않는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에만 의존해 향후 통화정책의 방향을 가늠해야 한다.
QT 중단 가능성과 의미
양적 긴축은 연준이 보유자산을 만기 도래 시점에 재투자하지 않고 축소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이다. 만약 이번에 QT가 멈춘다면 주식과 채권 모두에 ‘유동성 공급’ 효과가 발생해 위험자산 가격에는 우호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택지표 서프라이즈
8월 연방주택금융청(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올라 예상치(-0.1%)를 웃돌았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쉴러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도 전월 대비 0.19%, 전년 대비 1.58% 상승해 각각 전망치 -0.10%, 1.30%를 상회했다.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는 10월 –4를 기록해 전월 대비 13포인트 개선됐으며,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으로 전월(95.6) 대비 소폭 하락했지만 시장 예상치 93.4를 상회했다.
미·중 무역협상 훈풍
전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실무협상에서 미국과 중국 대표단이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는 소식도 위험자산 랠리에 기여했다. 스티븐 베센트 재무장관은 “11월 1일부터 예고됐던 대중국 100% 관세 부과 계획이 사실상 철회됐다”고 밝혔다. 중국은 최소 1년간 희토류 수출 제한을 하지 않고 미국산 대두를 ‘대규모’로 매입하기로 했다.
실적 시즌 하이라이트
이번 주에는 S&P500 구성 종목 173개사가 실적을 발표한다. 특히 마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 가운데 5개사가 주중 실적을 내놓는다. 30일(수)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31일(목) 애플, 아마존이 실적을 공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84%가 예상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수준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 중이다. 다만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7.2%로 2년 만의 최저 폭이며, 매출 증가율도 5.9%로 2분기(6.4%)보다 둔화될 전망이다.
미·캐나다 통상 갈등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가 공개한 반관세 광고를 문제 삼아 캐나다산 수입품에 10% 신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지난 주말 온타리오주가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음에도 철회되지 않았다. 11월 5일 연방대법원 구두변론에서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 법적 정당성이 다뤄질 예정이다.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셧다운이 5주째 이어지면서 주간 실업급여, 9월 고용·무역·소비 등 핵심 경제지표의 공표가 지연되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가에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며, 실업률이 4.7%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해외 시장 동향
유럽 Stoxx 50 지수는 0.12%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22% 내렸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도 0.58% 하락해 전일 급등분 일부를 반납했다.
채권·외환 시장
10년물 독일 국채 금리는 2.623%로 0.8bp 상승, 10년물 영국 길트금리는 4.400%로 0.1bp 하락했다. 12월 만기 미 10년물 T-노트 선물은 2.5틱 상승했다. 스왑 시장에서는 유럽중앙은행(ECB)이 10월 30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확률을 1%만 반영하고 있다.
주요 종목별 흐름
‘마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알파벳을 제외한 전 종목이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양자컴퓨터와 호환되는 신규 시스템 공개 ▲차세대 칩 매출 5천억 달러 달성 목표를 제시하며 5% 급등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구조조정된 오픈AI 지분 27%(1,350억 달러 상당)를 확보한다는 소식에 2% 올랐다. 인텔도 5% 가량 올랐지만, 다른 반도체주는 전일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으로 약세를 보였다.
페이팔은 오픈AI가 자사의 디지털 월렛을 챗GPT에 통합할 것이라는 CNBC 보도로 4% 상승했고, 리제네론 파머슈티컬스는 매출 호조에 11% 뛰어 나스닥100에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주택건설업체 D.R.호턴은 실적 부진으로 3%, 로열 캐리비언 크루즈는 8% 이상 하락했다.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10월 28일(현지시간) CVS헬스, 보잉, 캐터필러 등 대형주를 포함한 대규모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어, 실적 모멘텀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또한 FOMC 결과와 파월 의장 발언이 확인되는 30일 새벽(한국시간) 이후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QT 중단과 연속 금리 인하는 유동성 측면에서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다만 단기 랠리에도 불구하고 기업 이익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종목별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 – 기자 해설
*본 기사에서 언급된 개별 종목은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