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결정을 앞두고 증시 지지세…S&P 0.23%·나스닥 0.74% 상승

뉴욕증시가 29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 전날 기대감을 반영하며 상승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23% 상승한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34% 올랐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0.74% 뛰었다. 12월물 E-미니 S&P 선물은 0.31%, 12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83% 각각 상승했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틀간 진행되는 FOMC 정례회의가 30일 종료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자산축소(양적 긴축‧QT)를 중단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10년 만기 미 재무부채권 수익률이 0.6bp 하락(3.974%)해 주식시장에 추가 동력을 제공했다.

주목

◆ 연준 정책 전망 – 기준금리·양적 긴축
금융시장(연방기금선물)은 이번 회의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가 100% 단행될 것으로 전면 반영하고 있다. ※bp(basis point)는 0.01%p 또한 12월 9~10일 차기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을 90%로 가격에 반영해, 2026년 말까지 총 115bp 인하(현행 유효금리 4.10%→2.95%)를 전망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점도표(dot plot)가 포함된 경제전망 요약(SEP)이 공개되지 않는다. 이는 시장이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만으로 향후 금리 궤적을 유추해야 함을 의미한다. QT 중단 역시 유동성 ‘소멸’ 속도를 늦추면서 주식·채권시장 모두에 우호적으로 평가된다.

▶ 용어 풀이
양적 긴축(QT)은 연준이 만기 도래 국채·MBS(주택저당증권)를 재투자하지 않아 자산 규모를 축소하는 정책이다. 이는 시중 유동성을 흡수해 금리 상승 압력을 키우는데, 중단될 경우 유동성 공급 확대 효과가 있다. 점도표는 FOMC 위원별 금리 전망을 점으로 표시한 그래프로, 시장 참여자들이 연준의 중‧장기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핵심 자료다.


◆ 경제 지표 – 주택가격·소비심리·제조업
8월 연방주택금융청(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올랐다(예상 ‑0.1%). 케이스실러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도 0.19%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0.10%)를 넘어섰다.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는 ‑12에서 ‑4로 13포인트 개선됐다(예상 ‑12). 같은 달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으로 직전치(95.6) 대비 1.0포인트 하락했지만 예상치(93.4) 대비는 양호했다.

주목

◆ 미·중 무역협상 진전
주가는 전날 발표된 말레이시아 회동에서 도출된 미·중 잠정 무역합의 소식도 반영했다. 협상팀은 31일 APEC 정상회의(한국) 기간 중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에서 공식 발표될 합의를 도출했다. 재무장관 베슨트는 “11월 1일 발효 예정이던 대중 100% 추가관세가 사실상 철회됐다”고 말했다. 중국은 최소 1년간 희토류 수출 제한을 하지 않고, 미국산 대두 ‘대규모’ 구매도 약속했다. 양국은 운임·펜타닐 규제, 틱톡 접근성 문제에서도 진전을 이뤘다.


◆ 실적 시즌 – ‘매그니피센트 7’ 집중
이번 주는 S&P500 편입기업 173곳이 실적을 내놓는 ‘슈퍼 위크’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7(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메타·엔비디아·테슬라) 중 5곳이 실적을 발표한다. 30일에는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 31일에는 애플·아마존이 대기 중이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 중 84%가 시장 전망을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 비중을 기록했다. 다만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7.2% (전년 동기 대비)로 2년 만에 가장 낮을 전망이고, 매출 성장률도 5.9%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캐나다와의 통상 갈등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온타리오주 정부가 반(反)관세 광고를 중단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캐나다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캐나다와의 협상 중단 선언에 이어 제재 강도를 높인 셈이다. 한편 상무부 ‘보복관세법’의 적법성 여부를 둘러싼 연방대법원 구두변론이 11월 5일 예정돼 있으며, 최종 판결은 2025~26년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연방정부 셧다운 5주차
연방정부 셧다운이 다섯 번째 주에 접어들며 시장 심리를 누르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공무원이 강제휴직에 들어가 실업수당 청구 증가와 실업률 4.7%까지 상승 가능성을 제시했다. 고용·소매판매·물가·주택·광공업 등 주요 지표 공표도 지연되고 있다.


◆ 채권시장 – QT 중단 기대가 금리 하락 견인
12월물 10년 만기 T-노트 가격은 2.5틱 상승했다. 금리(수익률)는 3.974%로 0.6bp 내려갔다. 양적 긴축 중단 기대가 채권 매수세를 불러온 반면, 주택가격·제조업·소비심리 ‘서프라이즈’는 상승폭을 제한했다.
유럽 채권시장에서 10년물 독일 국채금리는 0.8bp 상승(2.623%), 10년물 영국 길트금리는 0.1bp 하락(4.400%)했다. 시장 금리(스왑)는 10월 30일 예정된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 미만으로 반영 중이다.

◆ 종목별 움직임
엔비디아(NVDA)와 인텔(INTC)이 각 5%가량 급등했으나, 그 외 반도체주는 전일 급등분을 일부 반납했다. 엔비디아는 ‘차세대 칩으로 5천억 달러 매출 창출’과 ‘양자컴퓨터 호환 AI 시스템’ 계획을 발표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재편된 오픈AI 지분 27%(약 1,350억 달러 가치)를 확보한다는 소식에 2% 가까이 올랐다.
CNBC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챗GPT에 페이팔(PYPL) 지갑을 탑재하기로 합의했고, 페이팔 주가는 4% 상승했다.
제약사 리제네론(REGN)은 매출 호조로 나스닥100 내 최대 상승률(+11%)을 시현했다.
택배업체 UPS는 조정 EPS(주당순이익)가 시장 기대를 웃돌면서 8% 가까이 급등했다.
반면 주택건설업체 D.R.호턴(DHI)과 크루즈사 로열 캐리비안(RCL)은 실적 부진으로 각각 3%, 8% 이상 하락했다.

◆ 오늘(10월 28일) 예정된 실적 발표
CVS헬스, 보잉, 캐터필러, 버라이즌, 칩otle 멕시칸그릴 등 대형주를 포함해 50여 기업이 대기 중이다.


결론적으로,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QT 중단·미·중 무역완화라는 ‘세 가지 촉매’가 단기 증시 랠리에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와 캐나다·중국 등과의 무역 변수, 경기지표 둔화 가능성은 증시 변동성을 증폭시킬 위험요인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