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결정을 앞두고 주식시장이 지지선 확보… 미국 소비 신뢰·리치먼드 연준 지표 호조

뉴욕증시가 29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기준금리 결정과 양적긴축(QT) 중단 기대를 앞두고 상승 마감했다. S&P500 지수(SPX)는 전장 대비 0.23% 올랐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34% 상승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IUXX)는 0.74% 뛰었다. 선물시장에서도 12월물 E-mini S&P500(ESZ25)은 0.31%, 12월물 E-mini 나스닥(NQZ25)은 0.83% 올랐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틀 일정으로 열리는 FOMC 회의가 25bp(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양적긴축 중단(QT pause)을 발표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이 0.6bp 하락한 3.974%를 기록하면서 주식에 우호적 자금이 유입됐다. 여기에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와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가 예상치를 상회해 경기 경착륙 우려를 완화했다.

시장 기대치를 살펴보면, 연방기금(FF)선물은 이번 회의에서 금리 3.75~4.00% 구간으로의 인하 가능성을 100% 반영하고 있다. 또한 12월 9~10일 열릴 차기 FOMC에서도 추가 25bp 인하 확률을 90%로 가격에 반영했다. 파월 의장은 회의 후 기자회견을 통해 통화정책 방향을 설명하지만, 점도표(dot plot)가 포함된 경제전망 요약(SEP)은 이번 회의에서 공개되지 않는다.

주목

S&P 지수 차트

“QT 중단은 연준이 시장 유동성 흡수를 멈춘다는 의미로, 주식·채권시장에 유동성 랠리를 촉발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QT 중단이 단기적으로 미 금융시장의 ‘유동성 숨통’을 틔울 것으로 본다. 연준 자산축소 속도가 늦춰질 경우, 2026년 말까지 총 115bp 추가 금리인하가 가능하다는 시나리오도 파생된다.


경제지표 및 주택시장 동향

8월 미국 연방주택금융청(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예상치 -0.1%를 크게 웃돌았다.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20개 대도시 주택가격지수도 전월 대비 0.19%, 전년 동월 대비 1.58% 올랐다. 주택가격 강세는 금리 인하 기대와 맞물려 주택 건설주로의 자금 유입을 자극했다.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 지수는 –4로 9월 대비 13포인트 개선되며 마이너스 폭을 줄였고, 같은 달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을 기록해 컨센서스(93.4)를 상회했다.

주목

미·중 무역협상 훈풍

투자심리는 주초 전해진 미국·중국 간 잠정 무역합의 소식으로 추가 지지를 받았다.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실무회담 결과가 10월 31일 한국 부산 APEC 정상회의 계기 미·중 정상회동에서 공식 발표될 전망이다. 미국은 11월 1일부로 예고한 100% 대중(對中)관세 부과 계획을 철회하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 유예미국산 대두 대량 구매를 약속했다. 양국은 선적 수수료, 펜타닐 원료 단속, 틱톡 접근권 보장 등에서도 접점을 찾았다.


실적 시즌: 매그니피센트 7(M7) 집중

이번 주는 S&P500 기업 173곳이 실적을 발표하는 ‘슈퍼 실적주간’이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세븐(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애플·아마존·엔비디아·테슬라) 중 5개사가 실적을 공개한다. 30일(수)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 31일(목) 애플·아마존이 예정돼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낸 S&P500 기업의 84%가 예상치를 상회해 2021년 이후 최고의 ‘어닝 서프라이즈’ 비율을 기록 중이다. 다만 3분기 이익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7.2%로 2년 만에 가장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Microsoft 로고

개별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OpenAI 재편 후 지분 27%(약 1,350억 달러 가치)를 확보한다는 소식에 2% 가까이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퀀텀 컴퓨팅 연동 시스템과 차세대 AI 칩이 5,000억 달러 매출을 창출할 것이라는 젠슨 황 CEO 발언으로 5% 급등했다. 페이팔은 OpenAI가 자사 디지털 월렛을 챗GPT에 탑재하기로 했다는 CNBC 보도로 4% 뛰었고, UPS는 조정 EPS 호조에 8% 올랐다. 반면 로열 캐리비언은 실적 부진으로 8%, 주택건설사 D.R.호튼은 3% 하락했다.


정치·정책 변수

시장 참가자들은 미·캐나다 통상 마찰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합법성 심리를 주시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5일 연방대법원 구두변론을 앞두고 캐나다산 제품에 10% 신규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하급심은 이미 ‘상호관세’를 위헌으로 판결했으며, 대법원이 이를 확정할 경우 2026년 초까지 관세 환급과 행정권 제약이 불가피해진다.

한편 연방정부 셧다운은 5주째 이어지며 주간 실업수당, 고용보고서, 무역수지 등 핵심 통계 발표를 지연시키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무급휴직에 들어가 실업률이 4.7%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국채·글로벌 금리 동향

12월물 미 10년 국채선물(ZNZ5)은 2.5틱 상승했다. 유럽에서도 10년 독일 국채 금리는 0.8bp 올라 2.623%를, 10년 영국 길트 금리는 0.1bp 내려 4.400%를 각각 기록했다. 시중 스와프시장은 10월 30일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 미만으로 반영하고 있다.


어려운 용어 해설

1 FOMC: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결정기구로, 금리·자산매입·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 등을 결정한다.
2 양적긴축(QT): 중앙은행이 보유자산을 만기 상환·매각해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정책.
3 점도표(dot plot): FOMC 위원들이 전망하는 기준금리 수준을 점으로 표시한 그림. 시장이 향후 금리경로를 예측할 때 중요한 단서로 사용한다.

*기사 내 의견은 기자의 시각을 반영한 전문적 해설이며, 원문 정보의 객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추가로 제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