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결정을 앞두고 미 증시, 통화완화 기대 속 지지세 확대

뉴욕증시가 29일(현지시간) S&P500지수가 0.23% 상승하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0.34%, 나스닥100지수가 0.74% 오르며 일제히 강세로 마감했다. 같은 날 S&P500과 나스닥 지수 선물도 각각 0.31%, 0.83% 상승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에 대한 ‘비둘기파적(dovish)’ 기대감을 반영했다.

S&P 500 Index 차트나스닥 선물 차트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시장은 이틀간 진행된 FOMC가 -25bp(0.25%p) 기준금리 인하양적긴축(QT) 중단을 동시에 발표할 것으로 100% 가까이 확신하고 있다. 금리가 현재 4.10% 수준(유효연방기금금리 기준)에서 3.75~4.00% 구간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며, 12월 9~10일 예정된 다음 회의에서도 추가 0.25%p 인하 가능성을 90%가량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주목

시장 참여자들은 2026년 말까지 총 1.15%p 인하, 즉 2.95% 수준까지 장기 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양적긴축(QT) 중단
Quantitative Tightening
은 미국 연준이 보유 채권을 만기 도래 시 재투자하지 않고 규모를 축소해 시중 유동성을 빨아들이던 정책을 멈춘다는 의미다. 이는 주식과 채권시장 모두에 유동성 공급 확대 효과를 가져오므로 위험자산에 우호적인 변수로 해석된다.

경제 지표도 증시에 힘을 더했다. 8월 연방주택금융청(FHFA) 주택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4% 상승해 예상치(-0.1%)를 상회했으며,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역시 0.19% 상승, 전년 대비 1.58% 상승해 모두 전망치를 웃돌았다.

UPS 주가

10월 리치먼드 연은 제조업지수는 -4로 전월 대비 13포인트 개선돼 예상치(-12)를 크게 상회했고,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는 94.6으로 집계돼 시장 전망치 93.4보다 높았다.

주목

미·중 무역협상 진전도 위험 선호 심리를 자극했다. 양측 협상단은 주말 말레이시아 회동에서 잠정 합의에 도달했고, 31일 APEC(한국, 부산) 정상회의 계기 트럼프·시진핑 회담에서 공식 발표될 전망이다. 미국은 11월 1일부터 예고했던 대(對)중국 100% 추가관세를 철회하기로 했고, 중국은 희토류 수출 제한을 1년간 유보하고 미국산 대두 ‘대규모’ 구매, 페ンタ닐 단속 강화 등에 동의했다.

한편 이번 주는 실적 슈퍼위크로, S&P500 기업 173곳이 순차적으로 3분기 성적표를 내놓는다. ‘매그니피센트 세븐’ 중 알파벳·메타·마이크로소프트가 30일, 애플·아마존이 31일 발표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보고한 기업의 84%가 시장 예상치를 웃돌아 2021년 이후 최상 분기 기록을 노리고 있지만, 3분기 순이익 증가율은 7.2%로 2년 내 최저 폭에 그칠 전망이다.

Nvidia 주가

정부 셧다운은 5주째 이어지며 경제 전반에 부담을 주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64만 명 연방공무원 무급휴직으로 실업률이 최대 4.7%까지 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셧다운 탓에 실업수당, 고용·소매판매 등 주요 지표 발표가 지연되고 있어 시장 가이드 역할이 축소됐다.

무역 측면에서 캐나다와의 갈등도 변수다. 트럼프 대통령은 온타리오주 정부의 반(反)관세 광고에 반발해 캐나다산 수입품에 10% 관세를 추가 부과했다. 이른바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의 합법성은 11월 5일 미국 연방대법원 구두변론으로 가려질 예정이며, 하급심은 이미 ‘위법’ 판결을 내린 상태다.


해외 증시는 엇갈렸다. 유로스톡스50지수는 0.12% 하락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22% 내렸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0.58% 약세로 돌아섰다.

채권시장에서는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0.6bp 하락한 3.974%를 기록했다. 연준의 QT 중단 기대가 가격을 지지했으나, 주택·제조업·소비지표 호조가 하락 폭을 제한했다. 독일 10년물 금리는 0.8bp 오른 2.623%, 영국 길트 10년물은 0.1bp 내린 4.400%였다.

주요 종목 움직임도 두드러졌다. 엔비디아(+5%)와 마이크로소프트(+2%)가 ‘매그니피센트 세븐’ 상승을 이끌었으나, 알파벳은 0.5% 하락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재편된 영리법인 오픈AI 지분 27%(약 1,350억 달러) 확보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엔비디아는 새 파트너십 및 양자컴퓨팅 연동 시스템 발표와 함께 최신 칩 매출이 ‘5,0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CEO 발언이 투자심리를 달궜다.

UPS는 조정 후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며 8% 급등했고, D.R.호튼(-3%)과 로열캐리비안(-8%)은 실적 부진으로 하락했다.

이외에도 페이팔(+4%)은 오픈AI가 ChatGPT에 디지털 지갑을 탑재하기로 했다는 CNBC 보도로 강세를 보였으며, 리제너론(+11%)은 매출 서프라이즈로 나스닥100 내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FOMC·QT·금리 인하가 무엇인가?
FOMC는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로 1년에 8차례 정례회의를 연다. 비둘기파적 결론은 물가보다 성장을 우선시해 금리를 낮추거나 유동성을 확대하는 조치를 뜻한다. QT는 중앙은행이 보유자산을 축소해 시중 통화를 흡수하는 정책으로, 중단될 경우 시중 유동성이 늘어난다. 기준금리(bp 단위)는 금융기관의 자금조달 비용과 기업·가계 대출 금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므로 증시 변동성을 좌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