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결과 앞두고 뉴욕 증시 하락 마감…기술주 실적·미국 고용지표 대기

뉴욕 증시가 30일(현지시간) FOMC 결과를 하루 앞두고 동반 하락했다. S&P500지수(SPX)는 -0.30%,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OWI)는 -0.46%, 나스닥100지수(IUXX)는 -0.21% 내렸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500 선물(ESU25)은 -0.30%,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0.22% 후퇴했다.

2025년 7월 3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이날 장 초반 매수세로 S&P500과 나스닥100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오후 들어 롱 포지션 청산(long-liquidation)이 집중되면서 주요 지수 모두 하락 반전했다. 시장은 31일 끝나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제롬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7월 ADP 고용·2분기 GDP·코어 PCE, 8월 1일 발표될 7월 비농업고용·ISM 제조업지수 등 굵직한 일정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S&P500 SPY Nasdaq100

상승 동력과 하락 압력이 교차한 하루였다. 우선 일부 대형 기술주와 산업주의 2분기 실적이 예상을 웃돌며 개장 초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윌버 L.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중국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 중인 협상 결과, 90일간 관세 휴전 연장이 유력하다”고 밝혀 무역 불확실성을 완화했다. 또한 미 상무부가 발표한 6월 재화 무역수지(선행치)는 -860억 달러로, 시장 예상 -980억 달러보다 적자 폭이 줄어 2분기 GDP 기여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6월 구인·이직(JOLTS) 보고서에서 구인 건수가 전월보다 27만5000건 감소한 743만7000건으로 집계돼 예상치(750만 건)를 밑돌았고, UnitedHealth Group(-7%) 등 주요 종목의 실적 부진이 다우지수를 끌어내렸다. 컨퍼런스보드 7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7.2로 예상을 상회했으나, 시장에는 ‘연준의 매파 기조 유지’ 우려로 해석돼 주가 지지를 제한했다.


주요 인수·합병(M&A) 및 기업 실적

Union Pacific이 약 850억 달러(주당 320달러)에 Norfolk Southern 인수에 합의했고, Baker Hughes는 Chart Industries(9.6억 달러, 주당 210달러)를 사들였다.

• 2분기 실적 시즌이 가장 분주한 주간에 돌입했다. S&P500 구성 종목 중 38%가 이번 주 실적을 발표하며, ‘매그니피센트 세븐’ 가운데 Microsoft·Meta가 30일, Apple·Amazon이 31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내놓는다. 현재까지 약 3분의 1이 실적을 공개해 82%가 시장 기대를 넘어섰고, 전체 2분기 EPS 증가율은 +4.5%(전년 동기 대비)로 시즌 전 예상치(+2.8%)를 상회하고 있다.

UNH WHR Chart Industries

다음은 개별 종목 등락 요인이다.*

Whirlpool -13%, Carrier Global -10%, UPS -10%, PayPal -8%, UnitedHealth Group -7%, Stanley Black & Decker -7%, Royal Caribbean -5% 등은 실적 또는 가이던스 하향으로 급락했다. 반면 Amkor Technology +18%, Chart Industries +16%, Sarepta Therapeutics +14%, Corning +11%, Cadence Design Systems +9%, CBRE Group +7%, Universal Health Services +5% 등은 호실적·M&A 수혜로 급등했다.

*백분율은 당일 종가 기준 전일 대비 변동률을 의미한다.


채권·금리 동향

9월물 10년 만기 미국 국채선물(ZNU25)은 +19틱 상승, 금리는 7.8bp 내려 4.332%로 2.5주 만의 저점을 찍었다. 수요 부진 우려 속에서도 미 재무부 7년물 440억 달러 입찰이 응찰배수 2.79를 기록, 최근 10차 평균(2.64)을 크게 상회하며 가격을 끌어올렸다.

유럽 금리도 혼조였다. 독일 10년물 금리는 +1.9bp 2.708%로 상승, 영국 10년물 금리는 -1.4bp 4.633%로 하락했다. ECB가 공개한 1년 기대 인플레이션(6월)은 2.6%로 전월 2.8%에서 완화됐고, 3년 기대치는 2.4%로 변동이 없었다.


이번 주 핵심 일정

FOMC: 시장은 이번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4.25~4.50% 동결을 전망한다. 연방기금선물은 7월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2%, 9월 회의에서는 66%로 반영 중이다.

• 31일(수): 7월 ADP 고용 +8만 명 예상, 2분기 GDP 연율 +2.4% 예상, 2분기 코어 PCE +2.3% 예상.
• 1일(목): 신규 실업수당청구 22만3000건(+6000건) 예상, 2분기 고용비용지수 +0.8% 예상, 6월 개인소득 +0.3%·개인소비 +0.4%·코어 PCE +0.3%(전년 +2.7%) 예상, 시카고 PMI 42.0 예상.
• 2일(금): 7월 비농업고용 +10만9000명, 실업률 4.2%, 시간당 평균임금 +0.3%(전년 +3.8%), ISM 제조업 49.5, 미시간대 소비심리 61.8(확정치) 예상.

한편 트럼프 전 대통령은 8월 1일까지 새로운 무역합의가 없으면 15~50%에 달하는 일률적 관세를 예고했다. 최근 그는 “15%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시장의 경계감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증시·해외 시장

유럽 Stoxx50은 +0.78%,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3% 상승했고, 일본 닛케이225는 -0.79% 하락 마감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롱 리퀴데이션(Long Liquidation): 보유 중인 매수 포지션을 청산해 현금화하는 행위. 주가가 단기 고점에 근접하거나 불확실성이 커질 때 발생하기 쉽다.

응찰배수(Bid-to-Cover Ratio): 국채 입찰에서 총 응찰 금액을 낙찰 금액으로 나눈 비율. 2 이상이면 상대적으로 강한 수요를 의미한다.


※ 이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 매수·매도 의견을 담고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