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트럼프 30% 관세 강행 시 1,170억 달러 규모 美상품에 보복 관세 추진

유럽연합(EU)미국과의 통상 마찰이 고조될 경우 약 1,170억 달러(1,000억 유로)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30%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준비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 이후 EU산 상품 대부분에 대해 같은 수준의 관세를 실제로 부과할 경우 자동으로 발동된다.

2025년 7월 23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대변인은 이미 승인된 1 210억 유로 규모 관세 대상 품목 목록에 2 720억 유로 상당의 추가 품목을 결합해 하나의 ‘패키지’로 묶는 첫 번째 대응 단계(first wave countermeasures)를 공식화했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같은 세율의 관세 위협에는 동일한 강도로 대응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보잉(NYSE:BA) 항공기·미국산 자동차·버번 위스키주요 산업재가 포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EU는 해당 관세안을 이르면 다음 달부터 발효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 절차를 완료해 두었지만, 실제 부과 시점은 미국이 8월 이후 관세를 강행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덧붙였다.

회원국 스탠스 강경 기류

특히 독일을 비롯한 핵심 회원국들은 미국 측 협상 태도가 경직될수록 보다 단호한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독일 정부 고위 관계자(익명)는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EU가 새로 도입한 반강압수단(ACI·Anti-Coercion Instrument)을 즉시 가동하는 방안을 지지한다”고 전했다.

ACI는 제3국이 EU나 회원국에 경제적 압박을 가할 때, 관세·수입제한·투자승인 지연 등 다양한 조치를 일괄적으로 동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신규 무역 방어 장치다.

2023년 12월 공식 채택돼 현재 법적 효력을 갖추고 있다.

주요 품목 및 관세 구조

EU가 발표한 ‘통합 패키지’에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품목이 포함돼 있다.

  • 보잉 737·787 시리즈 완제 항공기 : 항공산업 치명타
  • 포드·GM·테슬라 등 미국산 완성차 : 美 자동차 노동시장 압박
  • 켄터키 버번·테네시 위스키 : 상징적 소비재 타격

관세율은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30%와 동일하게 맞추어 대등성·대칭성 원칙을 구현했다. EU 관계자는 “품목별 연간 수입액을 고려하면 30% 부과 시 미국산 해당 품목의 EU 시장 점유율이 최대 절반까지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경제·시장 영향 분석

향후 합의가 결렬되고 보복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은 다시 한 번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항공·자동차·주류 산업 모두 양 지역 간 교역 의존도가 높아, 상승한 비용이 소비자 물가로 전가될 위험도 크다. 유럽 주요 항공사들이 보잉 대신 에어버스 발주량을 늘리는 ‘대체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양대 항공기 제조사 간 경쟁 구도에도 파장을 미칠 수 있다.

시장조사기관 IHS 마킷은 “미·EU 간 관세 공방이 장기화되면 2025년 하반기 유로존 GDP 성장률을 최대 0.2%p, 미국 GDP를 0.15%p 끌어내릴 수 있다”는 전망치를 내놓았다. 다만 이 수치는 구체적 관세 적용 범위와 기간에 따라 달라질 여지가 크다.

향후 일정·전망

EU 집행위는 오는 7월 말 열리는 통상이사회에서 최종 목록을 공식 채택하고, 즉각 발효 가능한 법적 문구를 확정할 계획이다. 이후 미국 측이 8월 1일부로 관세를 실제 시행하면, EU도 같은 날 또는 익일 30% 보복 관세에 착수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미·EU 간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 이미 공급망 불안과 고금리로 부담이 큰 글로벌 제조업 전반에 이중 악재가 겹칠 것”으로 우려한다. 특히 선거 국면에서 보호무역 공약을 앞세운 트럼프와, 내부 단결을 통한 전략적 자율성을 추구하는 EU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알아두면 좋을 용어

반강압수단(ACI) : EU가 2023년 도입한 무역 방어 장치로, 제3국이 EU에 정치·경제적 압력을 행사할 때 EU 집행위가 관세·수입 제한·투자허가 지연 등 맞대응 수단을 신속히 발동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ACI는 ‘경제적 강압’에 대응하기 위한 최초의 EU 차원 법적 틀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2025 Investing.com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