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미국 무역협정, 영국 경제에 미칠 파장 확대된다

EU-미국 무역협정의
영국 경제 파급효과 심층 분석


Investing.com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근 체결된 미국·유럽연합(EU) 간 무역협정이 당사국이 아닌 영국의 국내총생산(GDP)까지 압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8월 9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글로벌 공급망 상호연계성으로 인해 영국은 협정 외부국임에도 불구하고 최대 0.32%p의 GDP 감소 가능성에 직면했다. 도이체방크(Deutsche Bank)는 최신 『U.K. Weekly Digest』에서 이러한 리스크를 재계산하며 예상 손실 폭을 상향 조정했다.

이번 EU·미국 협정은 대다수 EU 수출품에 15% 보편 관세를 적용하는 한편, 항공기 부품·제네릭 의약품 등의 일부 품목은 0% 관세를 유지하도록 설계됐다. 영국은 협정의 당사자가 아니지만, 관세 차별을 통한 수요 이전 효과와 글로벌 가치사슬(GVC) 약화를 동시에 겪게 된다.

철강·알루미늄 부문은 특히 불확실성이 크다. 미국은 해당 품목에 여전히 5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향후 조정 로드맵도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관련 원자재·중간재를 수입·가공하는 영국 기업들은 가격 전가와 마진 축소 압박을 동시에 받고 있다.

도이체방크 경제연구팀은 산업연관표(input-output model)를 업데이트해 영국경제 타격치를 0.15~0.32%p로 상향했다. 이는 직전 전망치 0.13~0.25%p 대비 최대 0.07%p 악화된 수치다.

보고서는 “EU 수요 약화와 기타 무역파트너의 관세 피해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영국 외부충격 계수가 커졌다”라고 설명한다.

• 용어 해설 — 산업연관표란?

산업연관표는 각 산업 간 투입(중간재)·산출(최종재) 구조를 행렬로 나타낸 통계 도구다. 특정 부문 충격이 경제 전체로 퍼지는 파급효과(multiplier effect)를 계량화하는 데 활용되며, 중앙은행·투자은행이 경기예측 모델링에 널리 사용한다.

총 예상 손실 가운데 0.12%p는 여전히 영국 내부 요인, 즉 국내 수요 위축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0.05%p(20%)는 EU·미국 간 관세 합의의 2차 충격이며, 0.07%p는 미국이 제3국에 부과한 추가 관세와 직결된다.

영국 정부는 자체적인 ‘Economic Prosperity Deal’(경제번영협정)을 통해 미국과 양자관계를 유지 중이지만, 글로벌 교역 재편이 불러오는 수요 공동화(hollowing-out)를 상쇄하기엔 역부족이다. 도이체방크는 “소규모 개방경제인 영국은 대규모 경제권(EU)에 비해 외부수요 변화에 민감하다”라고 지적한다.

EU는 미국 관세가 EU 역내 국가에 집중되며 총 손실의 약 ⅔를 자국 내에서 부담한다. 반면, 영국은 간접 충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하방 위험을 맞는다.

정책·시장 시사점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단기적으로는 金리 인하 기대감이 커질 수 있다. 무역 충격이 실물지표를 끌어내리면 영란은행(BoE)은 경기 부양을 위해 통화정책 완화 카드를 검토할 여지가 있다. 또한, 원화·달러 대비 파운드화 약세 압력도 동반될 전망이다.

중장기적으로 영국은 부가가치 사슬 재설계친환경·첨단 제조업으로의 산업 전환을 가속해야 한다. 이를 통해 관세 변동성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국 경제는 EU-미국 무역협정에서 직접 제외됐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공급망과 수요 연계성으로 인해 의미 있는 단기 하락 압력을 피하기 어렵다. 투자자·정책입안자 모두 불확실성 완화책 마련에 나설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