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깊이 들여다보기: JEPQ, 10% 상승 여력 포착

ETF 운용 자산 내재가치 분석

미국 투자정보 사이트 ETF 채널(ETF Channel)이 집계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커버리지 우주 내 편입 종목을 대상으로, 각 종목의 최근 거래가와 애널리스트들의 12개월 미래 목표주가를 비교‧가중합해 ETF 단위의 ‘내재(암묵적) 목표가격’을 산출한 결과가 공개됐다.

주목

2025년 9월 8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서 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티커: JEPQ)의 내재 목표가격은 61.50달러로 계산됐다. 이는 최근 시장가 55.78달러 대비 10.25%의 상승 여력이 있다는 뜻이다.

JEPQ는 나스닥 상위 종목을 기반으로 커버드콜(주식 매수+콜옵션 매도) 전략을 병행해 프리미엄(옵션료)을 배당 형태로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구조다. 국내 투자자에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커버드콜 전략은, 보유 주식 위에 콜옵션을 매도해 옵션 만기 시점까지 부수적 소득을 창출하는 전술로, 변동성 완화 효과가 기대된다.


핵심 편입주 3종목의 목표가와 괴리율

애널리스트들이 높은 상승률을 제시한 JEPQ 편입 종목은 리제네론 파마슈티컬스(티커: REGN), 워크데이(티커: WDAY), 데이터독(티커: DDOG) 등 3개다.

주목

• REGN 최근가 573.38달러 → 평균 목표가 729.50달러(+27.23%)
• WDAY 최근가 231.08달러 → 평균 목표가 279.09달러(+20.78%)
• DDOG 최근가 136.08달러 → 평균 목표가 161.51달러(+18.69%)

REGN, WDAY, DDOG 상대 주가 그래프

위 이미지1는 최근 12개월 동안 각 종목의 상대적 주가 흐름을 시각화한 것이다. 리제네론은 면역·안과 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워크데이는 인사(HR)·재무 클라우드 SaaS(Software as a Service) 플랫폼을, 데이터독은 풀스택(full-stack) 모니터링 솔루션을 주력으로 한다.


요약 표

종목명   | 티커 | 최근가 | 평균 12M 목표가 | 목표가 대비 상승률
──────────────────────────────────────────
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 | JEPQ | 55.78달러 | 61.50달러 | 10.25%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 REGN | 573.38달러 | 729.50달러 | 27.23%
Workday Inc | WDAY | 231.08달러 | 279.09달러 | 20.78%
Datadog Inc | DDOG | 136.08달러 | 161.51달러 | 18.69%


애널리스트 전망에 대한 시장의 시각

애널리스트 목표가는 기업 펀더멘털, 매크로 지표, 산업 트렌드 등을 종합해 산출되는 ‘베이스라인’이지만, 지나친 낙관 혹은 시계열 지연이 함께 내재돼 있을 수 있다. 특히 신약 허가, 클라우드 전환 속도, IT 지출 사이클 등 변수는 실제 주가가 목표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를 결정한다.

예컨대, 리제네론은 황반변성 치료제 ‘EYLEA’의 특허 보호 기간과 차세대 항체 플랫폼의 상업화 속도가 관건이다. 워크데이는 생성형 AI 기반 HR·ERP(전사적 자원 관리) 모듈 확장이 투자 포인트로 꼽히지만, 경기 둔화 국면에서 기업 IT 예산이 축소될 위험 역시 존재한다. 데이터독은 멀티클라우드 환경 확산에 힘입어 성장세가 유지될 전망이지만, 경쟁 심화와 가격 압력이 마진을 훼손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투자자라면 ① 목표가 업데이트 주기, ② EPS(주당순이익) 컨센서스 변동성, ③ 옵션 시장에서 파생되는 변동성 프리미엄 등을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 의견

커버드콜 ETF라는 특성상, JEPQ는 배당수익률과 변동성 방어를 동시에 추구하는 ‘월배당’형 상품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기준금리가 고점 근처에서 장기화될 경우, 옵션 프리미엄이 유지돼 배당 매력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기초자산 가치가 하락하면 배당으로 충당하기 어려운 ‘프리미엄 디케이’ 위험이 커진다.

결론적으로, 10.25%의 잠재적 상승 여력은 매력적으로 보이나, 개별 편입주들의 펀더멘털과 옵션 변수를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배당+캐피털게인’을 동시에 기대하는 투자자라면, 주가 하방 리스크에 대비해 포트폴리오 내 비중 조절이 권고된다.

“애널리스트들의 전망치는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일 뿐, 반드시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


ⓒ 2025 Nasdaq, Inc. 저작권 및 면책 조항은 원문을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