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글로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기업 EPAM Systems, Inc.가 2025년 2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순이익은 감소했지만 주당순이익(EPS)은 시장 컨센서스를 웃돌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과시했다.
2025년 8월 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EPAM Systems의 2분기 GAAP(일반회계기준) 순이익은 9,865만 달러로 전년 동기의 1억2,003만 달러 대비 약 18% 감소했다. 이에 따른 주당순이익(EPS)은 1.70달러로, 작년 같은 분기의 2.03달러에 비해 하락했다.
그러나 특수항목을 제외한 비(非)GAAP 조정 EPS는 2.45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정보업체 톰슨로이터(Thomson Reuters)가 집계한 애널리스트 평균 전망치 2.26달러를 약 8.4% 상회한 수치다.
주요 실적 지표
• 매출: 11억4,600만 달러(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
• GAAP 순이익: 9,865만 달러(전년 대비 18% 감소)
• GAAP EPS: 1.70달러(전년 2.03달러)
• 조정 EPS: 2.45달러(시장 예상 2.26달러)
회사는 감소한 매출에도 불구하고 비용 절감 및 프로젝트 믹스 개선을 통해 이익률 방어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과 디지털 플랫폼 개발 부문이 상대적으로 견조한 수요를 보이며 수익성을 견인했다.
향후 가이던스
EPAM은 2025년 3분기 EPS 가이던스를 2.65~2.73달러, 매출 가이던스를 11억4,500만~11억5,500만 달러로 제시했다. 연간 전망으로는 EPS 10.20~10.40달러, 매출 45억9,000만~46억2,500만 달러를 제시해, 전사 차원의 안정적 성장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가이던스(Guideance)는 기업이 향후 분기 또는 회계연도에 대해 제시하는 실적 예상치를 의미한다. 이는 투자자들의 기대를 형성하고, 주가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용어 해설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은 미국 공인회계기준으로, 기업이 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따라야 하는 표준 규칙이다. 반면 Non-GAAP 실적은 주로 일회성 비용이나 비현금성 항목을 제외해 경영진이 바라보는 실질적 손익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활용된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순이익을 유통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당 얼마의 이익을 올렸는지를 나타낸다. 조정 EPS는 구조조정 비용, 주식보상비용 등 일회성 항목을 제외한 값으로, 기업의 지속 가능 이익력을 살피는 데 도움이 된다.
시장 반응 및 분석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EPS가 예상치를 웃돈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IT 서비스 기업 전반에 대한 수요 둔화 우려 속에서도 EPAM의 비용 구조 최적화와 고부가가치 프로젝트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했음을 시사한다.
다만, 전년 대비 매출 성장세가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일부 투자자에게 경계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2.1%의 매출 감소 폭은 업계 평균 성장률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부진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3분기와 연간 가이던스가 시장의 신뢰를 얼마나 확보할지 주목된다.
EPAM은 최근 몇 년간 동유럽 개발 센터를 통한 인력 확장, 미주·아시아 고객 다변화 전략에 집중해 왔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지역 리스크 완화, 인공지능(AI) 및 머신러닝 프로젝트 수주 확대 등이 실적 반등의 잠재적 촉매로 거론된다.
전문가 진단
뉴욕 소재 IT 컨설팅기업 애널리스트 존 스미스*가명은 “EPS 서프라이즈가 단기적으로 투자심리를 개선하겠지만, 매출 성장 모멘텀 회복이 없다면 주가 랠리는 제한적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AI 및 데이터 분석 서비스 비중 확대가 중장기 실적의 핵심 변수라고 덧붙였다.
반면, 일부 기관투자가들은 글로벌 경기 둔화 국면에서도 디지털 전환 수요가 구조적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EPAM의 클라우드·플랫폼·엔지니어링 역량이 장기 경쟁우위를 제공할 것이라는 긍정적 시각도 존재한다.
향후 관전 포인트
1) 3분기 매출 회복 여부
2) 조정 영업이익률(OPM) 유지 가능성
3) AI·머신러닝 고부가 프로젝트 수주 동향
4) 환율 및 지정학적 리스크가 이익에 미칠 영향
결론적으로, EPAM Systems는 매출 역풍 속에서도 비용 효율화와 고부가 서비스 강화로 이익률을 지켜냈다. 향후 실적 모멘텀 회복과 신흥 기술 분야에서의 성장 전략 실현 여부가 주가 방향성을 좌우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