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L이 미국행 기업 고객 대상 소포‧우편물 접수와 운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 세계 최대 국제특송 업체 중 하나인 DHL은 독일 내 우편 서비스를 담당하는 자회사 도이체 포스트(Deutsche Post)를 통해 이번 조치를 발표하며 글로벌 전자상거래 공급망에 또 다른 변수를 던졌다.
2025년 8월 22일, 로이터통신(Reuters)과 인베스팅닷컴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DHL은 같은 날부터 독일에서 발송되는 기업 발 미국행 소포를 더 이상 접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회사는 “이번 조치는 미국 당국이 새롭게 요구하는 우편물 통관 절차 때문”이라며, 기존 규정과 상충되는 새로운 심사·보안 프로세스가 생겨 불가피하게 제한을 걸었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규정은 우편 발송 데이터 사전 전송1과 화물 내 위험물 스크리닝 강화를 요구해, 당사 내부적으로 즉각 대응이 어렵다” – DHL 공식 성명
■ DHL·도이체 포스트가 누구인가?
DHL은 1969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한 국제특송 기업으로, 2002년 독일 물류 대기업 도이체 포스트그룹에 편입됐다. 일반 우편부터 항공·해상·육상 화물, 공급망 컨설팅까지 다루며 220여 개국에서 일 1,600만 건 이상의 배송을 처리한다. 독일 내 우편 사업은 자회사 도이체 포스트가 맡고 있으며, 프랑크푸르트, 라이프치히 등 대형 허브 공항을 통해 미국·아시아로 대량 화물을 보낸다.
■ ‘OTC:DHLGY’ 표기는 무엇인가?
기사에 등장한 OTC:DHLGY는 미국 장외시장(Over-the-Counter)에서 거래되는 도이체 포스트 ADR(미국예탁증권) 종목 코드다. 미국 투자자들이 독일 본토 증시 상장 주식을 직접 사지 않고도 투자할 수 있게 만든 증권 형태다. ADR은 환율 변동, 이중 과세, 유동성 문제 등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개별 투자자는 발행사 공시와 금융당국 규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새 규정이 촉발한 변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과 교통안전청(TSA)은 최근 우편·택배 화물에 대해 Advance Electronic Data(AED) 제출 의무를 강화했다. 발송 전 물품명, 수취인 정보, 가치, 원산지 등 세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고, 위험도가 높은 품목에 대해서는 X-ray·CT 스캔 또는 폭발물 흔적검사(ETD)가 필수다. 이 절차가 지연되면 납기 차질과 창고 체선료 부담이 생기며, 배송업체는 손실을 피하기 어렵다.
이번 결정은 소비재·패션·전자상거래 기업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독일 연방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독일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B2C·B2B 소포 물량은 연 1억3,000만 개로 추정된다. DHL이 차지하는 시장점유율이 약 40%라는 점을 감안하면, 5,000만 개 이상의 물류 흐름이 단숨에 막히는 셈이다.
■ 업계·전문가 시각
독일 물류·공급망 연구소(ISM Logistics) 관계자는 “DHL의 신속한 결정은 미준수 리스크보다 고객사 만족도 하락을 택한 것”이라며 “수주·납기 계약 불이행 시 부담할 위약금이 더 클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다른 전문가들은 페덱스, UPS 같은 경쟁사가 반사이익을 누리겠지만, 이들 역시 동일한 규정을 적용받아 단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 기업 고객의 대응 전략
1) 다른 특송사로 우회하거나 2) 해상·항공 복합운송으로 물류 라인을 재편해야 한다. 다만 신규 파트너 검증, 서비스 레벨 협상, 보험 리스크 조정 등 변수로 당분간 공급망 비용 상승이 예상된다. 독일 상공회의소는 “중소기업(SME)은 물류 전문 컨설턴트를 통해 AED 데이터 입력 시스템을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향후 관전 포인트
DHL은 ‘일시적(temporarily)’이라는 표현을 거듭 강조했다. 미국 당국과의 기술·보안 프로세스가 정비되면 수주 내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과거 리튬배터리·스프레이 용기 규제처럼 한 번 강화된 항공 보안 규정은 쉽게 완화되지 않았다. 특히 미국 대선, 글로벌 테러 위협, 공급망 지정학 리스크가 겹쳐 있어, 업계는 ‘장기화 시나리오’까지 대비하는 분위기다.
결론적으로, 독일 발 미국행 전자상거래·B2B 기업은 ①대체 운송로 확보, ②통관 데이터 자동화, ③계약 조건 재조정 등을 신속히 실행해야 한다. DHL의 재개 시점을 섣불리 기대하기보다는, ‘멀티 캐리어’ 체계를 평소부터 갖추는 것이 공급망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