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채권시장 동향] 달러 인덱스(DXY)가 13일(현지시간) -0.43% 하락하며 105선 아래로 내려앉았다. 투자자들은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와 거의 일치했다는 이유로 연방준비제도(Fed)가 9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96%까지 반영했다.
2025년 8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CPI 결과가 ‘충격 없이’ 발표되면서 달러 매도세가 집중됐다. 전날 88%였던 9월 금리 인하 확률은 8%p 급등했으며, 시장은 “연준이 더 이상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7월 CPI 세부 내용
• 전월 대비 +0.2%
• 전년 대비 +2.7%로 6월과 동일(예상 +2.8%)
• 근원 CPI 전월 대비 +0.3%로 컨센서스 부합
• 근원 CPI 전년 대비 +3.1%(6월 +2.9%)로 예상치(+3.0%) 소폭 상회
팬데믹 이후 최저치였던 +2.3%·+2.8%에서 다소 반등했지만, 인플레이션 ‘둔화 추세’가 훼손되지는 않았다는 평가다.
“큰 충격이 없었다는 사실 자체가 시장에는 ‘호재’였다”—시카고옵션거래소(CBOE) 이코노미스트
‘트럼프發 변수’로 국채금리 흔들
중립적 CPI에도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0.4bp 상승한 4.289%에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제롬 파월 의장 상대 건축공사 관련 소송을 허용할 것”이라는 글을 올린 데 따른 정치적 긴장 때문이다. 시장은 트럼프 측이 금리를 인위적으로 낮추려 연준 독립성을 훼손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확전되는 관세 공세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관세 휴전’을 90일 연장하되, 반도체 수입에는 100% 관세를 예고했다. 전자제품·인도산 상품·의약품에도 추가 관세를 검토하면서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평균 관세율이 현행 13.3%에서 15.2%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4년 2.3% 대비 6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주요 통화·상품시장 반응
• EUR/USD +0.52% — 달러 약세 영향, 다만 미 관세로 유럽 경기압박 지속.
• USD/JPY -0.30% — 달러 하락에도 일본 경제 타격 우려로 제한적.
• FedWatch — 9월 FOMC -25bp 인하 확률 96%, 10월 회의 58%.
귀금속
12월 금 선물 -0.17%(-5.70달러) 하락, 9월 은 선물 +0.57%(+0.215달러) 상승. 트럼프가 “금 수입에는 관세 부과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공급 우려가 완화된 것이 악재였지만, 금리 인하 기대와 지정학적 위험이 안전자산 수요를 지탱했다.
한편 금·은 ETF 보유량은 각각 2년·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펀드 자금 유입이 지속됐다.
용어 풀이 및 맥락 설명
CPI(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해 인플레이션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연방기금선물(Federal Funds Futures)은 투자자들이 연준 정책금리 방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는 파생상품으로, 가격 변동을 통해 금리 인하·인상 확률을 산출한다. T-note는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2~10년 만기 국채로, 그 수익률은 전 세계 금융시장 금리의 ‘기준점’ 역할을 한다.
기자 분석
단기적으로 달러 하락세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연준이 9월 금리 인하를 단행한다면 실질금리 차가 더 좁혀져 유로·엔화의 반등 여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정치적 압박이 장기화될 경우, 물가·성장이 변동성을 키우면서 ‘안전자산 효과’로 달러가 다시 강세로 전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원문 저자 Rich Asplund는 기사 작성 시점에 해당 증권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