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발표로 연준 금리 인하 기대 확대…뉴욕 증시 일제히 상승

S&P 500 지수($SPX)와 추종 ETF(SPY)가 13일(현지시간) 1.14%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 DIA)는 1.10% 올랐고, 나스닥 100 지수($IUXX, QQQ)는 1.33% 뛰었다. 9월물 E-미니 S&P·나스닥 선물도 각각 1.06%, 1.25% 상승하며 위험선호 심리를 반영했다.

2025년 8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증시 랠리는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과 대체로 부합하면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 16~17일 -25bp 인하 확률을 94%로, 전일 88%에서 상향 조정했다.

헤드라인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해 예상치보다 소폭 낮았으나,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3.1% 올라 컨센서스를 0.1%p 웃돌았다. 전월 대비로는 헤드라인·근원 CPI 모두 0.2%, 0.3%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재가속’ 우려와 ‘연착륙 가능성’이 교차하는 모습이다.

CPI 발표 직후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3.729%로 4bp 하락했지만 10년물 금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파월 의장 고소 검토’ 발언이 전해지며 낙폭을 반납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 건물 공사 비용을 문제 삼아 파월 의장의 책임을 묻겠다고 트루스 소셜에 올려, 시장의 정책 신뢰도에 불확실성을 더했다.

무역·정책 측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관세휴전을 11월 10일까지 90일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앞서 엔비디아와 AMD는 일정 사양 이하 AI 칩을 중국에 판매할 때 매출의 15%를 미 정부에 납부하기로 하고 수출 허가를 받았으나,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 ‘H20’ 프로세서 사용 자제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Tip: ‘H20’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설계한 중간 성능의 AI 칩으로, 고성능 ‘H100’ 대비 연산 능력을 낮춘 모델이다. 중국 정부의 사용 자제 권고는 이러한 우회 전략에도 제동을 거는 조치로 해석된다.


향후 일정

투자자들은 16일 알래스카에서 열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탐색적 회담”이라고 언급했고,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영토 양보 가능성을 일축하면서 단기 해결 기대를 낮췄다.

관세 정책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수입 관세를 100%로 올리겠다고 예고했으며,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도 러시아산 원유 구매를 이유로 25%에서 50%로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로 인해 미국 평균 관세율이 올해 15.2%로, 2024년 2.3%에서 급등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번 주 주목할 지표로는 14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예상 22만5000건), 15일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전년비 2.5% 예상)와 7월 소매판매(전월비 0.5% 예상) 등이 있다.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는 62.0으로 소폭 개선이 예상된다.

연방기금선물은 10월 28~29일 회의에서도 62% 확률로 추가 인하를 반영 중이다. 이는 ‘긴축 사이클 종료–조기 완화 전환’ 시나리오에 무게가 실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2분기 EPS는 전년 대비 9.1% 증가가 예상돼, 직전 시즌 초기 2.8% 증가 전망을 크게 웃돈다. 82%의 기업이 컨센서스 실적을 상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해외 증시도 강세였다. 유로 Stoxx50 지수는 0.08% 상승했고, 상하이종합지수는 10개월래 최고치인 0.50% 상승으로 마감했다. 니케이225는 2.15%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럽채권 시장에서는 독일 10년물 금리가 2.744%로 4.8bp, 영국 길트 10년물 금리가 4.626%로 6.1bp 올랐다. 시장은 9월 11일 ECB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5% 수준으로 낮게 보고 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로 불리는 대형 빅테크 7종)은 이날 모두 상승 마감했으며, 메타(META)가 3.15% 상승하며 선두에 섰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은 시가총액 기준 미국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7대 기술기업을 이르는 용어로, 1960년대 영화 ‘황야의 7인’에서 따온 별칭이다.

반도체 업종도 강세를 주도했다. NXP 세미컨덕터스, 온세미컨덕터,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텍사스 인스트루먼츠가 5% 이상 급등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에 힘입어 유나이티드항공(UAL)이 10% 넘게, 아메리칸항공(AAL)이 12% 가까이, 델타항공(DAL)이 9% 상승했다. 반면 스피릿항공의 모회사 스피릿 애비에이션(FLYY)은 지급불능(going-concern) 경고로 41% 폭락했다.

헤인즈브랜즈(HBI)는 길단 액티브웨어가 최대 50억 달러에 인수할 것이라는 파이낸셜타임스 보도로 28% 급등했다.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PSKY)는 구겐하임의 ‘매수’ 커버리지 개시와 13달러 목표가 제시에 8% 넘게 상승했다.

스타벅스(SBUX)는 베어드의 투자의견 상향(중립→아웃퍼폼)에 1.8% 상승했고, 카디널헬스(CAH)는 4분기 영업이익 부진으로 7.2% 하락했다. 게티이미지(GETY)는 2분기 실적 및 가이던스 부진으로 2.3% 떨어졌다.

13일 예정된 실적 발표 기업은 로어 홀딩스, 퍼포먼스 푸드 그룹, 스탠다드에어로, 코히런트, 시스코 시스템즈 등이 있다.

본 기사에 언급된 종목에 대해 필자(Rich Asplund)는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문가 시각

연준이 9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한다면, 장·단기 금리차가 완만하게 정상화되면서 경기 연착륙 시나리오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근원 물가가 재상승세를 보이는 만큼, ‘한 번의 인하 이후 장기 동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시장은 통화정책보다 관세 정책과 지정학 리스크가 물가 압력에 미칠 영향을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