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erpoint Research,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성장률 하향 조정

리서치 회사인 Counterpoint는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성장률을 4.2%에서 1.9%로 하향 조정했다고 수요일 발표했다. 이는 미국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원인으로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여러 관세 부과를 발표하면서 애플(Apple) 등의 기업들이 공급망 조정을 시작했다. 그러나 미국은 스마트폰과 다른 전자기기에 대한 관세를 90일간 유예했다.

2025년 6월 4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하향 조정은 지리적 긴장과 관세 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판매가 약화되어 제조업체들이 직면한 어려움을 나타낸다. 연구 회사는 또한 중국의 연간 출하량 성장률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하향 조정했으며, 애플과 삼성의 출하량도 소비자에게 비용 증가가 전달됨에 따라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애플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2억 2천만 대 이상의 아이폰을 판매하며, 미국으로 수입되는 아이폰의 5분의 1은 인도에서 오고 나머지는 중국에서 온다. 지난달, 국제 데이터 회사(IDC)는 관세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소비자 지출 감소를 이유로 2025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성장률 전망을 2.3%에서 0.6%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