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블록체인 심층 리포트】
가상화폐 가운데 대표 주자로 꼽히는 비트코인(Bitcoin)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난해한 금융 기술’로 인식된다. 실제로 “실물 화폐처럼 쓸 수 있는가”, “온라인에만 존재하는가”, “어떻게 보관‧거래하는가”와 같은 질문이 끊이지 않는다. 미국 금융 정보 매체 고뱅킹레이트(GOBankingRates)는 인공지능(AI) 챗봇 ChatGPT에게 “12세 어린이에게 설명하듯 비트코인을 설명해 달라”는 주문을 던졌고, AI가 내놓은 답변이 화제가 됐다.
2025년 8월 14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해당 실험은 ‘어렵고 복잡한 투자 자산을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풀이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 차원에서 진행됐다. 고뱅킹레이트 기자는 ※“Explain bitcoin to me like I’m 12 years old”라는 프롬프트를 단 한 줄로 입력했고, ChatGPT는 즉시 ‘비디오 게임’이라는 일상적 소재를 끌어와 답변을 시작했다.
● ChatGPT의 ‘비디오 게임’ 비유
AI는 먼저 “특별한 동전을 모으는 비디오 게임을 상상해 보라”고 제안했다. 게임 속에서 동전을 획득하면 ‘모든 플레이어가 볼 수 있는 공책(ledger)에 즉시 기록되며, 누구도 다른 사람의 동의 없이 내용을 지울 수 없다’는 설정이다. 이어 “비트코인은 손에 쥐어지는 달러 지폐처럼 물리적 형태를 갖진 않지만 인터넷에서 물건을 사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화폐”라고 요약했다.
● 핵심 개념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해부
ChatGPT는 비트코인의 작동 원리를 네 가지 키워드로 나눠 설명했다.
1) 은행이 필요 없다 : “일반적으로 은행이 잔액을 기록하지만,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는 전 세계 수천 대 컴퓨터가 분산 장부를 공동 관리한다.”
2) 블록체인 : “이 매우 안전한 공책이 바로 블록체인이다. 10분마다 새 페이지(블록)가 추가돼 누가 누구에게 비트코인을 보냈는지 업데이트된다.”
3) 채굴(mining) : “채굴자는 고성능 컴퓨터로 어려운 수학 문제를 해결해 블록을 완성하고, 보상으로 신규 비트코인을 받는다. 마치 땅속 보물을 찾는 행위와 같다.”
4) 희소성(scarcity) : “비트코인은 총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돼 있어 한정판 트레이딩 카드처럼 희소 가치가 형성된다.”
● Pokémon 카드에 비유한 가치 설명
AI는 가치를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포켓몬 카드’를 예로 들었다. “
‘포켓몬 카드로 간식을 살 수 있고, 모두가 마법의 책으로 진짜 카드를 확인한다’고 가정해 보라.”
즉, 중학생이 점심시간에 카드를 교환하고 학교 전체가 공유하는 노트에 기록하면, 나중에 “나는 그렇게 교환한 적 없다”고 부인할 수 없다는 논리다.
● 전문 용어 추가 설명
블록체인(blockchain)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묶어 앞선 블록과 연결(체인)하는 구조다. 모든 참가자가 동일한 사본을 보유하므로 해킹이나 변조가 극도로 어렵다. 채굴(mining)은 컴퓨터 연산을 통해 암호화 퍼즐을 풀어 네트워크를 보호하고, 그 대가로 코인을 지급받는 과정이다. 분산 원장 기술(DLT)은 중앙 서버가 아닌 여러 노드가 정보를 공유·검증하는 기술을 말한다.
● 전문가 시각: ‘어린이 관점’은 성인 이해도도 높인다
시장조사기관 체인애널리시스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비트코인 보유 인구는 4억 명에 육박한다. 그러나 ‘실제 원리를 완벽히 이해한다’고 답한 투자자는 15%에 불과했다. KB증권 디지털자산센터 분석가는 “12세 눈높이로 설명하는 접근법은 위험요소까지 쉽게 파악하게 해 투자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 본보 해설
비트코인은 2009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라는 가명의 개발자가 코드와 백서를 공개하며 탄생했다. 이후 2017년, 2020년, 2021년 세 차례에 걸쳐 대규모 가격 급등기를 겪으며 ‘디지털 금’으로 불렸지만, 높은 변동성과 규제 공백으로 인해 ‘투기 자산’이라는 평가도 받았다. 다만 한계 공급량과 분산 시스템이라는 기술적 특성은 여전히 가치 저장 수단(store of value)으로서 매력을 유지한다.
투자 유의 사항 : 가상화폐는 법정화폐가 아니며 한국 내에서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거래소 신고를 마친 사업자만이 취급할 수 있다. 가격 변동성이 극심하므로 투자 전 충분한 정보 습득과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 결론
ChatGPT는 ‘비디오 게임’과 ‘포켓몬 카드’라는 친숙한 소재를 통해 복잡한 블록체인 구조, 분산원장, 채굴 및 희소성까지 핵심 요소를 빠짐없이 전달했다. 결과적으로 어린이는 물론 성인 독자에게도 ‘비트코인이 무엇인가’라는 근본 질문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제시한 셈이다. 복잡한 경제·금융 개념도 올바른 은유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면 누구나 이해 가능한 지식으로 바뀐다는 점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