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증시] 일본 주식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TOPIX(도쿄증권거래소 주가지수)와 닛케이225가 2025년까지 추가 상승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2025년 9월 12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BofA는 최신 ‘Japan Equity Strategy’ 보고서에서 “일본 주식의 가파른 상승은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크게 상향된 기업 가이던스에 의해 충분히 설명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BofA 애널리스트들은 “실적 모멘텀이 견조하고, 추가적인 상향 리비전이 예상된다”며, “이는 양대 지수의 P/E(주가수익비율) 멀티플이 이미 크게 올랐음에도, 여전히 정당화될 수 있는 근거”라고 설명했다.
용어 설명
TOPIX는 도쿄증권거래소 프라임·스탠더드·그로스에 상장된 전 종목을 시가총액 방식으로 산출하는 광범위 지수이며, 닛케이225는 일본을 대표하는 225개 우량주 가격 평균을 지수화한 것이다. EPS(주당순이익)는 기업의 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이 값이 높아질수록 이익 창출력이 커졌음을 뜻한다. P/E는 주가를 EPS로 나눈 수치로, 기업 가치를 상대적으로 평가할 때 사용된다.
보고서는 “시장 모멘텀이 일시적으로 둔화할 수도 있지만, 9월 말 이후 리비전 변동성(revision volatility)이 안정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즉, 실적 전망치가 더 이상 급격히 변동하지 않고 일정 수준에 안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2025년 말까지를 내다보면 추가 상승 여지가 더욱 명확해진다. 1분기 결과 발표 이후, 현 회계연도와 차기 회계연도 모두에서 TOPIX EPS가 바닥을 통과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차기 연도의 실적 반등에 대한 시장 기대가 현 연도보다 훨씬 높다.” — BofA 일본 주식 전략 팀
BofA는 일본 기업의 회계연도가 4월에 시작된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10월은 일본 회계연도의 하반기(2H)가 시작되는 시점이므로, 이때부터는 차기 회계연도 추정치가 컨센서스 전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된다. 이는 12개월 선행 전망(12m forward outlook)에 회복 편향을 강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중간결산 발표가 이뤄지는 10~11월에 추가적인 가이던스 상향이 나와 현 회계연도의 EPS 추정치까지 개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일본 제조업체 및 서비스기업 상당수가 円(엔) 약세, 관광 소비 증가, 디지털 전환(DX) 투자 확대를 반영해 실적 전망을 올려 잡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 시각과 함의
BofA가 특히 주목한 섹터는 AI(인공지능) 관련 반도체·소프트웨어와 인플레이션 수혜 업종이다. 인공지능 투자가 글로벌 차원에서 가속화되면서 일본의 첨단 부품·소재 기업들이 수혜를 입을 수 있고, 기초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요 회복으로 인해 가격 전가력이 높은 내수 기업도 실적 개선폭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외 기관투자자 사이에서는 “일본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자사주 소각 확대가 ROE(자기자본이익률)를 꾸준히 끌어올리면서, 장기 밸류에이션 할증의 근거가 강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엔화 약세 심화에 따른 수입단 물가 상승”과 “글로벌 금리 변동성”이 단기 조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BofA는 “일본 주식에 대해 긍정적(Overweight) 의견을 유지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이는 기업 실적 가시성 개선, EPS 상향 추세, 그리고 구조적 성장 테마(인공지능·친환경 전환·관광)의 확산으로 요약된다.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포인트는 세 가지다. 첫째, 10월 중간실적 시즌에서 발표될 추가 가이던스 상향 폭. 둘째, 엔·달러 환율이 기업 실적에 미치는 영향. 셋째, 미국 연준(Fed) 금리 정책에 따른 글로벌 위험 선호의 변화다. 이들 변수를 점검하면서 TOPIX ETF나 닛케이225 선물 등으로 포트폴리오 비중을 조정하는 전략이 제시된다.
결론
BofA 애널리스트들은 “일본 주식에 대해 여전히 강세(불리시) 시각을 유지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는 실적 전망 상향과 구조적 성장 모멘텀이 맞물려 2025년 말까지 TOPIX와 닛케이225의 상승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