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의 가파른 발전이 국내 정치와 국제 안보를 동시에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글로벌 매크로·지정학 연구기관 BCA 리서치의 수석 지정학 전략가 매트 거트켄(Matt Gertken)이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밝힌 내용이다.
2025년 7월 25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거트켄 전략가는 도널드 트럼프 전(前) 미국 대통령이 AI 혁신 가속화를 위한 행정명령을 내리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방문해 금리 인하를 촉구한 직후 발표한 노트를 통해 “두 사건은 AI의 폭발적 성장이 가져올 정치·지정학적 변화의 ‘심층적 질문’을 상징한다”고 지적했다.
“인공지능은 국내 정치와 국제 안보를 모두 뒤흔들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1 — 매트 거트켄, BCA 리서치
■ 국내 정치: 사회 균열 심화
거트켄은 AI 기술이 파벌 간 이해관계와 이념적 대립을 더욱 고착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AI 시대에는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이 상시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정부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법인세 인상과 창의적 재정정책을 구사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빅테크 기업을 겨냥한 세수 확충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 국제 안보: 전략적 불신 확대
국제적으로는 군사기술에 AI가 접목되면서 국가 간 ‘전략적 불신’이 증폭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거트켄은 “AI 기반 무기 체계의 등장은 양국 간 의도 파악을 어렵게 만들어 오히려 외교적 화해보다 갈등을 부추길 위험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생각의 확산(speed of ideas)이 신뢰를 높이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 시장·정책 환경: 변동성 확대
BCA 리서치는 이러한 정치·안보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했다. AI가 유발하는 혼란은 통화·재정 정책 틀의 변화를 가속화해 채권·주식·외환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거트켄은 “AI 혁명이 경제정책뿐 아니라 지정학적 리스크 지형까지 흔들면서 투자 환경에 거대한 스트레스를 부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 용어 설명
AI(Artificial Intelligence)는 기계가 인간과 유사한 지능적 기능—학습·추론·자연어 이해—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텍스트·이미지·음성·코드 등을 스스로 생성하며 산업 전반에 혁신과 혼란을 동시에 가져오고 있다.
◎ 전문가 시각
기존 기술 발전이 생산성 향상을 통해 성장 서사를 뒷받침했다면, AI는 ‘효율성’보다 ‘권력 재편’의 변수로 작동할 가능성이 높다. 대규모 자동화가 고용·임금 구조를 급격히 흔들며 정치적 분열을 심화하고, 고도화된 사이버·무인 전력이 억지력 균형을 뒤흔들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에 투자자들은 정책 프레임 변화와 지정학적 리스크 프리미엄을 계량화해 포트폴리오 위험관리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정부·규제당국은 기술 혁신을 억제하지 않으면서도 사회·안보 리스크를 완충할 수 있는 ‘포괄적 거버넌스’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 거트켄 보고서는 구체적 처방까지 제시하지는 않았으나, 세제·재정수단과 국제 규범 설정의 병행을 정책당국이 고민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AI 혁명은 궁극적으로 글로벌 불안정기를 촉발할 수 있다.”2
※ 각주 1·2: BCA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Destabilize Domestic Politics And International Security’, 2025.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