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 스페이스모바일, 2027년 12월 만기 22달러 풋옵션 매도 시 年 10.9% 수익률 가능

뉴욕 월가에서는 AST SpaceMobile Inc(티커: ASTS) 주식을 매수하려는 투자자들에게 현 시세인 44.62달러를 그대로 지급하기보다, 파생상품 전략인 풋옵션 매도(지정가 22달러)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가 2027년 12월 만기, 행사가 22달러인 풋옵션(매도호가 5.55달러)을 팔 경우, 22달러의 주식매수 의무를 전제로 5.55달러의 프리미엄을 즉시 확보하게 된다. 이는 원금 대비 25.2%의 절대수익률에 해당하며, 만기까지 남은 약 2.5년을 고려하면 연환산 10.9%로 계산된다. (*연환산 수익률은 총수익률÷잔여연수로 단순 산출)

ASTS 주가와 22달러 행사가 위치


옵션 구조와 수익·위험 분석

풋옵션 매도는 매수자(권리 보유자)가 행사할 경우, 매도자가 기초주식을 행사가격에 매수해야 하는 의무를 진다. 따라서 위 계약에서 ASTS 주가가 22달러를 밑돌 때에만 의무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옵션이 행사되면 투자자의 실질 단가는 22달러(행사가) − 5.55달러(프리미엄) = 16.45달러가 된다. 이는 현재 시장가 대비 63% 가까이 할인된 수준이다.

“주가가 50.8% 이상 하락해야만 해당 풋이 ‘실질가치(in the money)’ 상태가 된다”라고 기사에서는 재차 강조한다.

투자자가 이 전략을 선택하면, 주가가 22달러를 웃도는 한 보유 주식은 생기지 않고, 프리미엄만 수익으로 남는다. 이는 주식의 상승 여력을 포기하는 대가로 안정적(그러나 제한적인) 현금 흐름을 얻는 구조다.


변동성·시장 수급 지표

보도에 따르면 ASTS의 최근 250거래일(약 12개월) 기준 역사적 변동성92%로, 동종 위성통신·항공우주 섹터 평균 대비 높은 편이다. 변동성이 크면 옵션 프리미엄이 비싸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높은 프리미엄 = 매도자에게 유리’라는 논리가 성립하며, 이번 5.55달러의 프리미엄도 그 일환으로 풀이된다.

한편, 같은 날 S&P 500 구성종목 전체 옵션 거래를 집계한 결과, 풋 거래량은 957,084건, 콜 거래량도 957,084건으로 나타났다. 풋:콜 비율(0.71)은 장기 중앙값 0.65를 상회해, 시장 전반의 ‘하방 위험 헤지’ 수요가 평소보다 높다는 해석이 나온다.


용어 해설: ‘YieldBoost’란?

기사에서 언급된 YieldBoost는 옵션 정보 사이트 Stock Options Channel이 만든 자체 지표로, ‘옵션 프리미엄을 통해 기존 배당수익률 이상의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을 뜻한다. 배당이 없는 성장주에서도 인컴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취지다.


전문가 시각 및 투자 고려사항

전문가들은 장기 통신 위성 사업자인 ASTS가 아직 매출 초기 단계이며, 대형 이동통신사와의 파트너십, 발사 성공 여부, 규제 승인 등 여러 불확실성을 안고 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고수익 프리미엄은 곧 높은 위험의 반영일 수 있다.

반면, 저가 매수 성향의 투자자는 16달러대의 실질 단가라면 ‘적절한 안전마진’이 확보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현금 보유량이 충분하고 2027년까지 장기 보유가 가능하다면, 해당 전략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낮추는 동시에 연 10%대 인컴을 제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옵션 슬라이드


실무 팁

증권사 수수료·마진 요건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옵션 매도는 통상 현금 담보 또는 증거금이 필요하다.
행사가 22달러는 기술적 지지선이 아니므로, 매수 의무 발생 시 수익성 검토를 미리 시뮬레이션해야 한다.
변동성이 급락할 경우 프리미엄 가치가 빠르게 줄어 조기 청산 기회가 생길 수 있다.


결론

요약하면, ASTS 2027년 12월 만기 22달러 풋옵션 매도연 10.9%의 잠재수익을 제공하지만, 동일 기간 주가가 절반 이상 하락할 가능성을 투자자가 떠안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고수익과 고위험 사이에서 본인의 위험 허용 범위를 냉정하게 점검한 뒤 참여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