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B, “미국 관세 상승이 아시아 개발도상국 성장 둔화시킬 것”…2025·2026년 전망 하향

아시아개발은행(ADB)미국의 대(對)중국·대(對)아시아 교역 관세 인상과 글로벌 수요 약세를 이유로 개발도상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성장률 전망을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2025년 7월 23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ADB는 이날 발간한 최신 『Asian Development Outlook』 업데이트 보고서에서 2025년 성장률 전망을 4.7%로, 4월 제시한 4.9% 대비 0.2%포인트 낮춰 잡았다고 밝혔다. 이어 2026년 전망도 4.7%에서 4.6%로 0.1%포인트 하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무역 긴장 고조, 지정학적 갈등, 중국 부동산 경기 추가 둔화 가능성이 주된 리스크 요인으로 꼽혔다. ADB 수석 이코노미스트 앨버트 박(Albert Park)은 “올해 아시아·태평양 경제는 더욱 도전적인 외부 환경을 견뎌 왔지만, 위험이 확산되면서 전망이 약화됐다”고 지적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성장률이 올해 4.7%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소비 및 산업활동 부양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부양책이 뒷받침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반면 인도는 2025년 6.5%, 2026년 6.7%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동남아시아는 관세·무역 충격과 수출 부진의 이중 압력을 받아 올해 성장률이 4.2%로 크게 낮아질 전망이다. 중앙아시아는 석유 생산 호전 기대에 힘입어 소폭 상향됐다.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전면전이 장기화할수록, 글로벌 가치사슬(GVC)에서 중간재 교역 비중이 높은 동남아 국가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 — ADB 보고서 중

물가 측면에서는 식료품·에너지 가격 압력이 완화되면서 2025년 지역 인플레이션이 2.0%로 둔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용어 해설

1미국 관세란 미국 정부가 특정 국가·품목 수입품에 부과하는 수입세로, 무역흑자 축소나 산업 보호를 목표로 한다.

2글로벌 수요 약세는 세계 경제 성장 둔화, 소비 심리 위축 등으로 수입·수출 물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뜻한다.

이처럼 관세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기 사이클은 아시아 신흥국의 성장궤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말레이시아 등은 교역 감소 시 실업률·재정수지 악화 가능성이 더 커진다.


전문가 시각

국내외 경제전문가들은 ADB 전망에 대체로 동의하면서도, 무역 다변화·내수 확장 전략이 병행된다면 일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한다. 다만 중국 부동산 경기의 추가 급락이 현실화될 경우 공급망·원자재 가격·자본 흐름에 부정적 파급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공존한다.

결국 미국의 관세 정책중국의 부양책 실효성이 향후 2년간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성장 경로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