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정부가 2025/26 회계연도를 위한 연방 예산안을 오는 11월 4일 공개하기로 확정했다. 이번 일정은 재무장관 프랑수아-필리프 샴페인이 자신의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알리며 공식화됐다.
2025년 9월 16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당초 정부는 10월 중 예산안을 제시할 예정이었으나, 발표 시점을 약 한 달가량 늦추기로 결정했다. 구체적인 연기 사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정부 내부 일정 및 주요 거시경제 변수 조정이 반영된 것으로 관측된다.
프랑수아-필리프 샴페인 재무장관은 “예산안은 캐나다 국민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리는 최선의 선택을 위해 추가 검토 기간이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샴페인 장관이 지휘하는 재무부는 향후 6주간 각 부처별 재정 수요를 최종 점검할 예정이다.
이번 발표 지연과 함께 마크 카니 총리*1는 9월 14일 일요 연설에서 “2025/26 회계연도 재정적자는 지난해보다 확대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카니 총리는 미국이 캐나다 수출품에 부과한 관세로 인해 성장률이 둔화되고 세수가 감소하고 있다며, 이를 적자 확대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했다.
▪ ‘연방 예산안(Federal Budget)’이란?
연방 예산안은 캐나다 중앙정부가 매년 국회에 제출하는 공식 재정 계획서로, 세입·세출 구조, 조세 정책, 부처별 지출 한도 등을 담는다. 한국의 ‘정부 예산안’에 해당하며, 통상 4~5개 회계연도에 걸친 중기 전망도 함께 포함된다.
▪ ‘미국 관세(US Tariffs)’의 파급력
최근 미국은 철강·알루미늄·목재 등 일부 캐나다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캐나다의 대미(對美) 수출 비중은 약 75%에 달하기 때문에, 관세 인상은 자국 제조업·고용·재정수입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전문가 시각
시장 분석가들은 예산안 발표 지연이 정책 패키지 조정과 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본다. 특히 미국 관세의 파급효과를 재정적자 확대로 우선 대응하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다만 적자 규모가 과도해질 경우 캐나다 국채 금리 상승과 통화 가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일정
11월 4일 예산안이 공개되면, 의회는 연말까지 예산 심의를 진행하게 된다. 통상 하원 예산위원회가 세부 조항을 수정·보완한 뒤, 상원 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안이 12월 중순경 의결된다.
*1주: 기사 원문에는 ‘Prime Minister Mark Carney’로 표기돼 있으나, 실제 캐나다 총리는 2025년 기준으로 마크 카니가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