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일요일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때문에 단기적으로 물가가 오를 가능성이 있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것이라 덧붙였다.
2025년 6월 2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월러 이사는 서울에서 열린 모임에서 준비된 연설문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세 인상으로 인한 물가 상승 압력이 오래 가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단기 인플레이션에 대한 관세 효과를 정책 금리 설정 시 무시할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관세가 최저 수준으로 정해지고, ‘기저 인플레이션이 2% 목표로 향하는 진전을 보이며’ 여전히 ‘견고한’ 고용 부문이 존재한다면, 올해 말 ‘좋은 소식’의 금리 인하를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월러 이사는 또한 “다행히 4월까지 강한 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의 진전 덕분에 무역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경제가 어떻게 변화할지를 더 지켜볼 여유가 생겼다”고 말했다.
월러의 경제 및 통화 정책 전망에 대한 발언은 그의 최근 발언과 일치하며, 대통령의 무역 정책에 대한 상당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가운데 나왔다. 트럼프는 관세율과 그 시기에 있어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동시에, 관세 시스템은 궁극적으로 전체 시도를 무디게 할 수 있는 법적 도전을 받고 있다.
경제학자와 연준 관계자들은 일반적으로 관세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성장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세금 인상은 올해 현재 4.25%에서 4.5% 사이인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에서 어떤 금리 인하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