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엔비디아(지가형: NVDA)가 중국 시장을 위해 새롭게 설계한 AI 추론(inference) 전용 그래픽처리장치(GPU) ‘RTX6000D’가 기대 이하의 초기 수요를 보이고 있다. 알리바바·텐센트·바이트댄스 등 주요 중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문을 미루면서, 업계의 관심이 차세대 모델 ‘H20’ 및 ‘B30A’ 승인이 어떻게 전개될지에 집중되고 있다.
2025년 9월 16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RTX6000D는 한 장당 약 5만 위안(약 7000달러)으로 책정됐지만, 성능 대비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소식통들은 “미국 수출 규제로 중국 내 판매가 금지된 RTX5090(미국 제품)을 회색시장을 통해 1절반 수준 가격으로 확보할 수 있어 기업들이 선뜻 RTX6000D를 선택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 제품 제원 및 성능 평가
RTX6000D는 미국 수출통제법(Export Administration Regulations)을 준수하기 위해 연산 성능(TOPS·초당 테라 연산)이 제한된 다운그레이드 버전이다. AI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이용해 실제 서비스를 제공할 때의 연산 과정으로, 대규모 언어모델(LLM)·이미지 생성·자율주행 차량 센서 해석 등에 필수다. 초기 벤치마크 결과에서는 동일 조건에서 RTX5090 대비 20~30% 가량 성능이 낮다는 평가가 나왔다.
■ 회색시장(Gray Market)이란?
회색시장은 정식 유통 경로가 아닌 병행수입·중고 플랫폼·개인 거래 등을 통해 제품을 들여오는 시장을 뜻한다. 불법은 아니지만 제조사의 공식 판매망 밖에서 이뤄져 가격이 낮아지는 반면, A/S와 품질보증이 제한되는 위험이 존재한다.
“RTX5090을 홍콩·싱가포르 등을 경유해 들여올 경우, 관·부가세 포함 2만 위안대 후반이면 확보 가능하다.”2
■ 중국 빅테크, H20·B30A 승인 여부 주시
알리바바(뉴욕증시: BABA), 텐센트(0700.HK), 바이트댄스 등은 RTX6000D 대신 H20·B30A 승인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상무부는 7월 한 차례 H20 판매를 조건부 허용했으나, 실제 선적(shipments)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H20보다 성능이 뛰어난 B30A에 대한 승인 여부도 미정 상태다.
■ 美 수출규제 배경
미국 정부는 2022년 10월부터 첨단 반도체 및 AI 하드웨어가 중국 군사·감시 분야에 활용될 가능성을 이유로 엔비디아 A100·H100 등 고성능 GPU 수출을 제한했다. 이에 엔비디아는 중국 전용 ‘A800·H800’에 이어 추가로 RTX6000D·H20·B30A를 설계했으나, 연산 성능·대역폭 등에 엄격한 상한을 적용받고 있다.
■ 애널리스트 전망 엇갈려
글로벌 증권사 일부는 “성능 저하 모델이어도 중국 AI 시장 수요가 워낙 커 일정 물량은 소화될 것”이라며 올해 말까지 20만 장 이상 출하를 예상했다. 그러나 경쟁사 화웨이의 자체 AI 칩 ‘Ascend 910B’가 9월 초부터 공급 확대를 예고하면서, RTX6000D 판매 목표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 전문가 분석
수출 규제 완화가 지연되면, 중국 고객사가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개발·국산 대체품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시에 미국 정부가 ‘B30A’ 판매 허가를 지연시킬 경우,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전체의 약 20%)은 단기적으로 정체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1 회색시장 가격은 수시 변동하며, 공식 환율·물류 비용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다.
2 업계 관계자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