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니웰(Honeywell, 나스닥: HON)과 레드와이어 코퍼레이션(Redwire Corporation, 뉴욕증권거래소: RDW)이 양자 보안 위성 통신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기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유럽우주국(ESA)이 후원하는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6년 중반까지 완전한 작동이 가능한 양자 키 분배(QKD) 기반 위성을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5년 9월 1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2024년 출범 이후 허니웰이 선도해 온 ‘양자 키 분배 위성 컨소시엄(QKDSat)’에서 가장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양사는 레드와이어의 양자 플랫폼 기술을 허니웰의 양자 광학 탑재체(optical payload)와 결합해, 높은 보안성을 갖춘 위성 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QKDSat 프로젝트에는 벨기에·오스트리아·캐나다·체코·영국 등 ESA 회원국의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초고도 암호화 기술을 적용해 민·관이 고급 기밀 정보를 상호 교환할 때 활용할 ‘초(超)보안’ 위성 통신망을 구축하려 한다. 특히 이번 협력으로 양자 시대에 예상되는 해킹 및 사이버 위협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핵심 목표다.
“국방 및 우주 통신 환경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제 보안과 회복탄력성이 정부와 핵심 산업의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다” — 리사 나폴리타노(Lisa Napolitano) 허니웰 에어로스페이스 테크놀로지스 우주 사업부 부사장 겸 GM
양사는 정부 기관 및 방위 산업뿐 아니라 은행·통신·전력·교통 등 대규모 기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도 양자 통신 시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레드와이어 벨기에법인 총괄 매니저 마크 딜리센(Marc Dielissen)은 “양자 기반 통신은 정부와 민간 모두에게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점점 정교해지는 위협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최첨단 혁신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양자 키 분배(QKD)란 무엇인가?
QKD는 양자 얽힘(Entanglement)이나 단일광자(Single Photon) 방식을 이용해 통신 당사자 간 암호화 키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술이다. 제3자가 광자를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순간 양자 상태가 변화해 침입 사실이 즉시 탐지되므로, ‘이론적 해킹 불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기존 RSA·AES 같은 공개키 암호 방식은 미래의 양자컴퓨터가 등장할 경우 쉽게 무력화될 수 있지만, QKD는 이러한 위협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국 정부와 금융권의 관심을 끌고 있다.
프로젝트 추진 일정과 기술적 로드맵
이번 양해각서에 따라 양사는 2025년까지 실증용 지상국 및 탑재체 통합을 완료하고, 2026년 중반에는 완전 작동 시제품을 궤도로 발사할 계획이다. QKDSat 내부 소식통은 “기존 위성 통신 대비 10배 이상 향상된 암호화 성능”을 목표로 엔지니어링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시장 및 산업적 함의
양자 보안 통신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허니웰과 레드와이어의 합작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진입장벽 구축의 대표 사례로, 경쟁사인 에어버스·탈레스·NTT 등도 유사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본 기자가 취재한 다수 업계 전문가는 “ESA의 자금 지원 아래 양사에 대한 정책적·재정적 우위가 확보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유럽 안전 통신 위성 이니셔티브(ESA Secure Connectivity)’와 맞물리면서, EU 단일 통신망의 보안 수준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가능성도 높다. 국경을 넘어선 데이터 이동이 일상화된 만큼, 양자 안전성 확보는 필수적 전략 요소가 됐다.
전문가 시각 및 전망
장기적으로 양자 키 분배 위성은 우주 인터넷(LEO 위성망)과 결합해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2028년경 상용 양자컴퓨터가 등장할 것이라는 컨센서스가 형성되면서, ‘양자 내성(Post-Quantum) 보안’의 중요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허니웰의 항공·방위 전문성과 레드와이어의 우주 구조물 제작 기술이 시너지를 낸다면, 민·관 모두의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아키텍처 구현이 앞당겨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일부 비평가들은 “양자 키 분배 시스템은 비용이 지나치게 높다”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프로젝트 관계자는 “운영 안정성과 기밀 보호 가치가 비용을 상쇄한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최근 유럽 금융 규제기관들은 고위험 데이터를 취급하는 기업에 대해 ‘양자 대비 보안 검증’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결론
허니웰과 레드와이어의 이번 협력은 사이버 보안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시금석이다. 첨단 양자 기술이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해당 프로젝트는 앞으로 국제안보·금융·통신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