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아 시장 동향] 달러 인덱스 강세와 서아프리카 수확 가속화 영향으로 국제 코코아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2025년 9월 1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ICE 뉴욕 12월물 코코아 선물(CCZ24)은 전일 대비 -321달러(-4.43%) 급락해 1주 만에 최저가를 기록했으며, ICE 런던 12월물 코코아(CAZ24) 역시 -176파운드(-3.10%) 떨어졌다.
같은 날 달러 인덱스(DXY)미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 지수가 4개월 만의 최고치를 경신하자 대부분의 원자재가 약세를 보였고, 코코아도 예외가 아니었다. 특히 세계 최대 생산국인 코트디부아르의 수확·선적 속도가 빨라지면서 공급 우려가 완화된 점이 하락 압력으로 작용했다.
주요 공급·수요 지표
코트디부아르 정부 집계에 따르면, 10월 1일부터 11월 3일까지 농가에서 항구로 출하한 코코아 원두는 365,072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88,686톤 대비 26% 증가했다.
또한 코트디부아르 규제기관 Le Conseil Café-Cacao는 지난 10월 18일 2024/25년도 생산 전망치를 기존 200만 톤에서 210만~220만 톤으로 상향 조정했다.
수요 측면에서는 혼조세가 확인됐다. 10월 17일 미국 전미제과협회(NCA)는 북미 3분기 그라인딩(원두 분쇄)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한 109,264톤이라고 밝혔다. 같은 날 아시아코코아협회는 아시아 3분기 그라인딩이 2.6% 증가한 216,998톤이라고 발표했다. 반면 유럽코코아협회는 유럽 3분기 그라인딩이 3.3% 감소한 354,335톤이라고 보고했다.
재고·수급 불균형
미국 ICE 지정 창고의 코코아 재고는 17개월 연속 감소해 9월 9일 기준 1,737,858포대로 19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재고 감소는 장기적으로 가격을 지지하는 요인이다.
2위 생산국 가나의 생산 부진도 공급 축소를 심화시키고 있다. 가나 코코아위원회(Cocobod)는 8월 20일 2024/25년 생산 전망을 65만 톤으로 종전보다 5만 톤 하향했다. 가나의 2023/24년 실제 수확량은 42만5천 톤으로 23년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5위 생산국 카메룬은 2023/24년(8월~다음해 7월) 생산이 전년 대비 1.2% 증가한 266,725톤을 기록했고, 6위 생산국 나이지리아는 8월 수출이 14,984톤으로 6.8% 늘어 가격 하방 요인으로 지목됐다.
ICCO 최신 전망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8월 30일 보고서에서 2023/24 시즌 세계 공급 부족(디피싯) 전망치를 46만2천 톤으로 상향하면서, 60년 만에 최대 규모의 부족 사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같은 보고서에서 ICCO는 세계 생산 추정치를 4,330만 톤으로 낮췄고, 재고/그라인딩 비율은 27.4%로 46년 만의 최저치를 점쳤다.
용어 설명
‘그라인딩’은 코코아 원두를 갈아서 코코아 매스·버터·파우더 등을 추출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 수치는 가공 수요를 나타내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DXY’는 미 달러화 가치를 주요 6개 통화 바스켓과 비교해 산출한 지수다. 일반적으로 달러 강세는 달러 표시 원자재 가격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분석 및 전망
단기적으로는 달러 강세와 서아프리카 수확 가속화가 하락 압력을 지속할 전망이다. 그러나 미국 ICE 재고가 장기 저점에 머물고, ICCO가 공급 부족을 예고한 만큼 중장기적 상승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평가다. 특히 북미·아시아의 그라인딩 증가가 재차 확인되면 투기적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투자자들은 달러 인덱스 추이와 코트디부아르·가나 작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가격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해당 기사 작성 시점 기준으로 필자인 Rich Asplund는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접·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