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ECB 기준금리 인하 전망을 12월로 연기…“충격 없이는 완화 없다”

유럽중앙은행(ECB)이 10월이 아닌 12월까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2025년 9월 12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JP모건 체이스 애널리스트들은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며 ECB가 충분히 큰 충격이 없는 한 통화 완화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애널리스트들은 메모에서 “ECB는 인플레이션 전망이 2% 목표를 하회하더라도 완화에 나설 시점을 매우 신중히 보고 있다”며, “무엇이 ‘충분히 큰 충격’인지 ECB 내부에서도 명확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중 무역관세 상향,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물가 압력이 남아 있지만, ECB 자체 전망치는 중기적으로 목표치를 밑돌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주목

■ 라가르드 총재의 신호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유로존 물가상승률은 6월 이후 대체로 변동이 없으며, 중기적으로 목표 수준에 수렴할 것“이라면서도 「예금금리(deposit rate)」가 “현재 좋은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라가르드는 또 “경제 성장에 대한 위험 요인이 보다 균형을 이뤘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이징 바이어스(easing bias)’가 이미 사라졌다는 주장도 나온다. 여기서 이징 바이어스란 중앙은행이 향후 통화정책을 완화(금리 인하) 쪽으로 기울여 놓은 상태를 가리키는 시장 용어다. JP모건은 “ECB가 추가 인하 없이 끝낼 가능성도 분명 존재한다”면서도, “물가 전망이 여전히 완화를 시사한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금리 현황과 전망

ECB는 전날 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로 동결했다. 이는 팬데믹 이후 4%까지 치솟았던 금리를 1년 만에 대폭 인하한 뒤 처음 맞은 동결 조치다. 당국은 물가상승률이 2% 목표 대비 근소하게 웃도는 수준으로 내려온 것을 확인한 뒤, 완화 사이클을 일시 정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회의에서 발표된 ECB 신(新)거시경제전망은 6월과 거의 유사했다.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총인플레이션)은 2025년 평균 2.1%, 2026년 1.7%, 2027년 1.9%로 제시됐다.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은 각각 2.4%, 1.9%, 1.8%로 예상됐다.

주목

성장률 전망도 소폭 조정됐다. 2025년 1.2%(6월 전망치 0.9%), 2026년 1.0%(0.1%p 하향), 2027년은 1.3%로 유지됐다.


라가르드 총재는 “ECB는 데이터에 기반해 회의마다 결정을 내릴 것“이라며, “어떠한 금리경로에도 사전 약속(pre-commitment)을 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 JP모건의 시나리오

JP모건은 기존 10월 인하 전망을 철회하면서, 12월 회의에서 0.25%p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했다. 은행 측은 “전망에는 여전히 하방 리스크가 존재하고, ECB 직원들의 인플레이션 예측이 현저한 하회(undershoot)를 보여준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반면, 모건스탠리 등 일부 기관은 ECB가 이미 인하를 마쳤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동결 장기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이처럼 투자은행(IB)별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시장은 데이터 의존적(data-dependent)인 ECB의 스탠스에 주목하고 있다.

■ 용어 설명

예금금리(deposit rate)는 시중은행이 ECB에 초과지준을 예치할 때 적용받는 금리를 말한다. 금융시장에서 기준금리보다 더 직접적인 유동성 조절 수단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징 바이어스(easing bias)는 중앙은행이 공식·비공식적으로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 두는 의사 표현을 의미한다.

■ 기자 관전평

ECB가 “충격 없이는 완화 없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하면서, 유로존의 유동성 전망은 가파르게 좁아지고 있다. 물가 목표를 하회하는 예측치에도 불구하고, 성장·금융안정 리스크를 더 크게 보는 인상이 역력하다. JP모건이 12월 인하를 점치는 배경에는 총선 일정, 미·중 관세 전쟁 재점화 가능성,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다만 환율·시장금리·자본흐름 등은 이미 상당 부분 ‘동결 장기화’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어, 실제 12월 인하가 이뤄지더라도 정책 파급력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회의론이 시장 주변에서 고개를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