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유기업 적자 근절 ‘엄중 지시’…과잉설비 해소 새 해법 찾나

베이징/싱가포르발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유 건설사 쓰촨제15건설공사(四川十五建設公司)의 장슝(張雄) 총경리는 최근 임직원 회의에서 “더 이상 손실을 내서는 안 되며, 낼 수도 없게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단언했다.

2025년 9월 12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장 총경리가 전달한 핵심 메시지는 한 마디로 “적자 금지”였다. 이는 7월 시진핑 국가주석이 본격화한 ‘디플레이션(Deflation) 대응 전국 캠페인’의 일환으로, 수요 대비 과잉 공급이 심각한 산업에서 ‘손실 불허’ 경영을 주문한 것이다.

중국 태양광 패널 업계의 경우 전 세계 수요의 약 두 배를 소화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갖췄으나, 시장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지며 수익성이 급락하고 있다. 장 총경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주목

“각 프로젝트는 반드시 손실 중단 실행안을 마련하고, 본사는 이를 매월 점검하겠다”

고 강조했다.

중국 건설 현장


‘적자 = 레드라인’…전국 국유기업 회의 러시

지난 한 달간 6개 이상의 국유기업이 유사한 회의를 개최했다. 간쑤전력투자그룹(甘肅電投)은 두 개 적자 자회사를 소집해 “사고방식을 전환해 2026년까지 흑자로 돌아서라”는 지시를 내렸다. 회사는 적자를 ‘레드라인(금지선)’으로 규정하며 강도 높은 경영 개선을 공언했다.

재정부(재무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국유기업 전체 이익은 전년 대비 제자리였고, 올해 1~7월에는 3.3%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임금 삭감투잡(부업)의 증가가 전(全) 국유 부문에서 확인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주목

국유기업은 중앙정부의 ‘정책 시그널’에 발맞춰 행동해야 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EIU(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의 쉬톈천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엄포만으로는 신규 수주를 가져올 수 없다”고 평가했다.

태양광 패널


폴리실리콘 ‘자율 감산 카르텔’이 유일한 구체책

현재까지 나온 가장 구체적인 해법폴리실리콘 업계 자율 감산이다. 주요 업체들이 카르텔을 형성해 잉여 설비를 매입한 뒤 폐쇄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이는 1990년대 ‘철강 감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공급 억제를 통해 가격과 마진을 지키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대규모 구조조정·정리해고 문제는 회피되고 있다. 유일하게 인력 재배치를 언급한 사례는 산시(陝西) 석탄연구원(샨시코알 리서치)의 하오징 부원장이었다. 그는 “직원 안정성을 확보한 상태에서 적자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티시스(Natixis) 아시아태평양 수석이코노미스트 알리시아 가르시아-에레로는 “적자를 절대 허용하지 않는 분위기는 손실을 숨기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며 “손실은 존재하며, 겉으로 가려도 체계 내에 그대로 남는다”고 진단했다.


배경 용어 설명

디플레이션은 일반적인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실질 구매력이 상승하지만, 동시에 기업 수익·투자·고용이 위축되는 경제 현상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소비 심리 위축과 과잉투자로 인해 물가가 약세를 보여 ‘아시아판 일본화’ 우려가 제기된다.

폴리실리콘은 태양광 패널의 핵심 원료다. 과잉설비는 제품 단가 하락으로 이어져 업계 전반의 수익성을 잠식한다.


전망과 시사점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공급 축소 외에도 내수를 통한 수요 확대 정책을 병행하지 않을 경우, ‘비용 절감→가격 인하→수익성 악화’의 악순환이 재연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한 손실 은폐 리스크가 금융 시스템 불확실성을 키울 가능성도 제기된다.

시장 관측통들은 국유기업의 ‘손실 불허’ 구호가 단기적 성과 압박을 높여 자산 매각·M&A 활성화, 산업 내 재편으로 이어질 것으로 본다. 동시에, 공급억제 조치가 세계 태양광·철강·화학 제품 가격에 상승 압력을 미칠 수도 있다.

중국 경제

결국 중국 정부가 과잉투자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시장의 완충장치를 마련하지 못한다면, 과잉설비·수익성 악화·실업이라는 삼중고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