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런던 발] 미국 정부가 인도와 중국이 러시아산 원유를 지속적으로 구매하고 있다는 이유로 두 국가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도록 주요 7개국(G7)에 공식 요청할 계획이다. 이는 러시아를 우크라이나와의 평화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압박 전술의 일환이다.
2025년 9월 12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G7 재무장관들에게 50%에서 최대 100%에 달하는 징벌적 관세 도입을 제안할 예정이며, 이 안건은 9월 13일(금) 화상회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된다.
■ G7 화상회의 일정 및 논의 의제
보도에 따르면 G7 재무장관 회의는 9월 13일 화상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회의의 핵심 의제는 우크라이나 전쟁 자금원 차단을 목표로 한 러시아산 석유 수입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다. 특히 인도와 중국이 실질적인 러시아 에너지 수입의 ‘대체 시장’으로 부상했다는 점에 G7은 주목하고 있다.
■ 재무부 입장
미국 재무부 대변인은
“중국과 인도의 러시아산 석유 구매는 푸틴의 전쟁 자금을 지원해 분쟁 장기화를 초래하고 있다”며 “전쟁이 끝나는 즉시 관세를 철회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관세’를 설정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 관세 제안 세부 내용
이번 제안은 최소 50%에서 최대 100%까지 달하는 높은 관세율을 담고 있다. 지난달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를 지속 구매한다는 이유로 인도산 일부 수입품에 부과하던 관세를 두 배로 인상한 바 있으며, 올해 초에는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했다가 이후 일부를 철회한 전례가 있다.
■ EU·인도·중국의 반응
보도는 EU 관계자들이 “보복 관세 가능성과 인도와의 무역 협상”을 우려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와 중국의 공식 입장은 아직 나오지 않았으나, 양국 모두 에너지 안보와 경제 성장을 이유로 러시아 원유 수입을 계속해 왔다.
■ 용어 설명: G7과 관세
G7(주요 7개국)은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캐나다·일본으로 구성된 선진국 협의체다. 국제 경제·안보 현안을 논의하며, 글로벌 정책 공조의 상징적 기구로 여겨진다.
관세(tariff)는 외국 상품이 국내에 들어올 때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무역수지 개선·정치적 압박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된다.
■ 국제유가 및 금융시장 파급 가능성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추가 제재 가능성은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에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인도·중국이 대체 공급원을 찾지 못할 경우, 국제유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본 단락은 일반적 시장 메커니즘 설명이며, 기사에 직접 언급된 수치는 아님
■ 향후 전망
G7 재무장관 회의 결과가 실제 고율 관세로 이어질 경우, 러시아·인도·중국·서방 간 무역·외교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미국은 “전쟁 종료 시 즉각 관세 철폐”라는 조건을 강조하며, 관세를 지렛대 삼아 러시아를 압박하려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
※ 본 기사는 원문(Investing.com, 2025-09-12)을 기자가 한국어로 전문 번역한 것이며, 모든 사실·숫자·인용문은 원문을 그대로 옮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