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비영리 모회사가 1,000억 달러 이상 지분 보유…거버넌스 구조 유지

오픈AI(OpenAI)가 비영리 모회사거버넌스 권한을 유지한 채 1,000억 달러(약 133조 원)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게 됐다고 공식 발표했다.

2025년 9월 11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자체 기업가치가 5,000억 달러(약 665조 원)로 평가받는 가운데, 비영리 모회사 ‘오픈AI 비영리재단’이 여전히 최종 의사결정권을 쥐는 구조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구조를 통해 비영리재단이 “세계에서 가장 자원이 풍부한 자선조직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대규모 자본 유치를 지속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주목

마이크로소프트와 차세대 파트너십

오픈AI는 동시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구속력이 없는 양해각서(non-binding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우리는 최종 계약서(Definitive Agreement) 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상 중이다”

라는 공동 성명을 통해 양사는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한 AI 도구 개발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9년부터 오픈AI에 13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왔으며, 현재 오픈AI의 주요 클라우드 파트너다. 양사의 협력은 2022년 ChatGPT 출시 이전부터 진행됐다.


거버넌스 재편 배경과 비영리 지위 유지

브렛 테일러(Bret Taylor) 이사회 의장은 “오픈AI는 2015년 비영리 연구소로 시작했으며, 현재도 비영리 지위를 유지한다”고 재확인했다. 2025년 5월 오픈AI는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 형태로 재편하는 과정에서 시민사회 및 전직 임직원들의 지속적인 압박을 받아 비영리 재단에 의사결정권을 남겨두기로 결정했다.

주목

‘공익법인’은 이윤 극대화보다 공익 추구를 우선시하는 미국 법적 기업 형태다. 이는 일반 영리기업보다 사회적 책임 이행을 강제받는다는 특징이 있다.

오픈AI는 캘리포니아·델라웨어주 검찰총장 사무실과 긴밀히 협력해 법적·규제적 적합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론 머스크와의 법적 분쟁

한편 공동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오픈AI가 영리화를 추진한다며 소송을 제기해 왔다. 머스크는 자신의 생성형 AI 스타트업 xAI를 통해 AI 시장에서 경쟁 중이다.

머스크 측은 오픈AI의 조직 변경이 창립 당시 비영리 모델을 훼손한다고 주장하지만, 오픈AI는 “비영리재단이 여전히 거버넌스 전권을 행사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입장을 굳건히 하고 있다.


전문가 관점·산업적 함의

1,000억 달러 이상의 지분을 비영리재단이 소유한다는 점은, 단순 ‘자선’의 범위를 넘어 AI 연구 생태계 자원의 대규모 집중을 의미한다. 본 기자가 취재한 여러 벤처캐피털 파트너들에 따르면, “회사의 실질적 영리 성장 동력과 비영리적 통제가 공존하는 드문 사례”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이는 잠재적 투자자에게 명확한 책임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대규모 자본 유치를 용이하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비영리 지분이 이익을 사회에 재투자하도록 유도해, ‘AI 안전성·윤리’ 연구에 더 많은 자금이 배정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AI 업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깊은 파트너십을 통해 클라우드·GPU 인프라 확보가 더욱 안정화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이는 경쟁사 대비 모델 학습 속도 및 제품 출시 주기에서 우위를 제공할 수 있다.


용어 해설

• Public Benefit Corporation(PBC)은 주주의 경제적 이익뿐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미국 기업 구조다. 우리의 ‘사회적 기업’과 유사하지만, 미국 주법에 명시된 형태라는 점이 다르다.

• 양해각서(MOU)는 당사자 간 합의 의향을 문서화한 것으로,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향후 정식 계약 체결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향후 전망

오픈AI가 안전성자금 조달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어떻게 잡을지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5,000억 달러 기업가치가 유지되는 한편, 비영리재단이 이익을 재투자하는 구조가 지속 가능할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다. 퇴사자들의 ‘견제’시장에서의 ‘압력’을 병행 수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장기 성장성을 가르는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궁극적으로 본 구조는 전 세계 AI 거버넌스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가·기업·학계가 ‘안전·윤리·이익’을 균형 있게 배분하는 새로운 모델로서, 오픈AI 사례는 향후 정책 수립 및 투자 전략의 참고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