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압력 완화에 연준 금리 인하 기대 강화…뉴욕 증시 상승 탄력

뉴욕 증시 주요 지수 혼조 마감이다. 11일(현지시간) S&P 500 지수($SPX)는 전장 대비 +0.30% 오른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I)는 -0.48% 하락했다. 나스닥 100 지수($IUXX)는 +0.04% 상승했다. 9월물 E-미니 S&P 선물(ESU25)은 +0.28%,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NQU25)은 +0.02% 각각 올랐다.

2025년 9월 1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S&P 500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나스닥 100 지수는 4주 만의 고점을 각각 기록했다. 미국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의 예상 밖 둔화로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채권 금리가 하락했고, 이에 따라 주식시장 전반에 매수세가 유입됐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일 대비 6bp 내린 연 4.03%로 5개월 만의 최저치를 찍었다.

AI 인프라·클라우드 관련 종목 급등이 주가를 견인했다. 오라클(ORCL)은 자사 클라우드 인프라 사업 전망을 공격적으로 제시하며 +35% 급등,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뒤이어 CoreWeave(+17%), 브로드컴(AVGO, +9%), 아리스타 네트웍스(ANET, +6%), 엔비디아(NVDA, +3%) 등 AI 컴퓨팅 인프라주가 일제히 상승했다. *AI(인공지능) 인프라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학습을 지원하는 서버, 네트워크, 전력 및 냉각 설비 등을 통칭한다.

주목

반면, 다우지수는 애플(AAPL)과 세일즈포스(CRM)의 부진에 압박을 받았다. 애플은 아이폰·애플워치·에어팟 신제품 발표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이유로 -3% 하락했고, 오라클의 실적 발표가 ‘전통적 소프트웨어 수요 둔화’를 부각시키면서 세일즈포스도 -3% 넘게 밀렸다.


거시경제·정책 변수

• 미국 8월 PPI는 전년동월 대비 +2.6%, 변동성 높은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는 +2.8%를 기록해 월가 예상치(+3.3%, +3.5%)를 큰 폭 밑돌았다.
• 같은 기간 미국 MBA 주택담보대출 신청건수는 전주 대비 +9.2% 증가했다.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11개월 만의 최저 수준인 6.49%로 하락했다.

• 시장은 9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0.25%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100% 반영하고 있으며, 50bp 인하 가능성도 10% 정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연말까지는 총 73bp 인하가 예상된다.
• 12일 발표될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동월 대비 +2.9%로 7월(+2.7%)보다 상승폭 확대가, 근원 CPI는 +3.1%로 전월과 같은 수준이 각각 전망된다.

주목

해외 변수: 유럽·중국

유럽에서는 폴란드 영공 침범 드론 격추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긴장이 고조됐다. 유로 Stoxx 50 지수는 1.5주 고점에서 -0.14% 하락 마감했다. 10년물 독일 국채금리는 1개월 만에 최저치인 연 2.631%까지 내려갔다.

중국은 8월 CPI가 -0.4%(전년동월 대비)로 6개월 만의 최대폭 하락을 기록, 디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됐다. 8월 PPI는 -2.9%로 35개월 연속 감소했다.


채권 시장

12월 만기 미국 10년물 T-노트(ZNZ5)는 이날 7.5틱 상승했다. 미 재무부가 실시한 390억 달러 규모 10년물 입찰에서 낙찰배수 2.65배를 기록해 최근 10차 평균(2.56배)을 웃돌았다. 다만 S&P 500이 장중 사상 최고가로 치솟은 점, 그리고 이번 주 1,190억 달러 규모의 국채·국채권 공급이 남아 있는 점은 T-노트 가격 상승폭을 제한했다.

시장에서는 대통령이 연준 이사를 해임하려 했다는 보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멤버가 연준 이사직 겸임을 추진한다는 관측 등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도 거론되고 있다.


개별 종목 동향

“오라클은 2026회계연도 이후 4년간 클라우드 인프라 매출이 320억→730억→1,140억→1,140억 달러로 급증할 것”

오라클 급등으로 전력 수요 확대가 예상되면서 발전 기업도 동반 상승했다. 버티브홀딩스(VRT, +9%), 비스트라(VST, +8%), 컨스텔레이션 에너지(CEG, +6%), GE 버노바(GEV, +6%) 등이 대표적이다.

제약사 트라베어 테라퓨틱스(TVTX)는 미 FDA가 희귀 신장질환 치료제 추가 신청에 대해 자문위 심사를 생략하기로 하면서 +26% 급등했다. 행동주의 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지분을 쌓았다는 보도가 나온 빌 홀딩스(BILL)는 +4% 상승했다.

반면 EDA(전자설계자동화) 업체 시놉시스(SNPS)는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12.76~12.80달러로 제시, 컨센서스(15.11달러)를 크게 하회해 -35% 폭락했다. 반려동물 이커머스 기업 츄이(CHWY, -16%), 광고 플랫폼 트레이드 데스크(TTD, -11%) 등도 부진했다.

병원주 역시 은행오브아메리카의 투자의견 하향(아카디 헬스케어 ACHC -9%)으로 약세를 보였고, HCA(-4%), 테넷 헬스케어(THC), 커뮤니티 헬스시스템즈(CYH) 등이 2% 이상 떨어졌다.


향후 일정·전망

• 12일: 8월 CPI,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
• 13일: 미시간대 9월 소비자심리지수(잠정치)
• 16~17일: FOMC(연 0.25%p 인하 유력)
• 11일(미국 기준) 장 마감 후 실적: 어도비(ADBE), 크로거(KR) 등

전문가 해설: 최근 물가 데이터 둔화와 경기 연착륙 기대가 결합돼 “골디락스(goldilocks) 환경”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중국발 지정학·디플레이션 리스크, 그리고 연준 독립성 논쟁은 중기적으로 변동성을 확대할 수 있다. 투자자는 인공지능과 전력 인프라 등 ‘초과수요’가 예상되는 구조적 성장 섹터에 주목하되, 단기 과열에 따른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2025 Barchart, 배포: Nasdaq.com.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명시된 종목에 대한 투자 권유가 아니다. 기사 작성 시 필자는 해당 종목에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