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언 퍼시픽(Union Pacific) 최고경영자(CEO) 짐 베나가 노퍽 서던(Norfolk Southern)과의 대규모 합병에 대해 “승인을 받을 것”이라며 확고한 입장을 밝혔다.
2025년 9월 1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베나 CEO는 이날 뉴욕에서 열린 모건스탠리 교통·물류 콘퍼런스에서
“행정부 고위 관계자를 만나 ‘이번 거래는 미국 경제 전체에 이익이 될 것’이라는 평가를 들었다”
고 전하며 “승인 여부에 대한 확신은 100%”라고 강조했다.
85억 달러 규모, 첫 ‘해안-간(코스트-투-코스트)’ 화물철도 탄생 예고
유니언 퍼시픽은 지난 7월 주식과 현금을 결합한 총 850억 달러(약 112조 원) 규모로 노퍽 서던을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 거래가 성사되면 미국 역사상 최초로 서부 연안과 동부 연안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잇는 화물철도 사업자가 탄생하게 된다.
베나 CEO는 콘퍼런스 연설에서 “이번 합병은 공급망 효율을 극대화하고, 고객에게 단일 운송창구를 제공함으로써 물류 비용을 절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연방 정부도 해안-간 운송 역량 확대를 ‘국가적 이득’으로 보고 있다”며 승인 절차에 낙관적 전망을 내놨다.
규제 관문은 ‘STB’… 2027년 초 최종 완료 목표
양사는 2025년 7월 30일 (예비 신고)를 통해 연방 표면교통위원회(STB·Surface Transportation Board)에 통보했고, 2026년 1월 29일까지 공식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목표 일정은 2027년 초 마감이다.
STB는 미국 의회가 설립한 독립 규제기관으로 대형 철도 합병 시 시장 경쟁성·운송 안정성·공공편익 등을 심사한다. 미국 내 화물철도 시장은 7대 Class-I 철도가 과점하고 있어, STB 승인은 사실상 ‘마지막 관문’으로 평가된다.
정치적 변수: 프리머스 이사 해임 여파
지난달 백악관은 로버트 프리머스 STB 이사를 전격 해임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독립기관 인사 전반을 교체하는 조치의 일환이다. 전문가들은 “위원 구성 변화가 합병 심사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도, 베나 CEO는 “행정부의 일관된 메시지는 긍정적이었다”고 선을 그었다.
유니언 퍼시픽은 서부 연안을 중심으로 영업해왔고, 노퍽 서던은 동부·남동부를 담당해 왔다. 업계는 “노선 중복이 거의 없다는 점이 승인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한다.
재무 계획: 5,000만 달러 통합 비용·자사주 매입 중단
유니언 퍼시픽은 11일 공시를 통해 합병 관련 직접비용 5,000만 달러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확정 전까지는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일시 중단한다. 이는 유동성을 보존하고, 규제기관에 재무 건전성을 강조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용어 해설: ‘STB’와 ‘Class-I 철도’
- STB(Surface Transportation Board): 1996년 설립된 미국 연방정부 산하 독립기관으로, 철도·파이프라인·트럭터미널 등 육상 운송 분야의 요금·노선·합병을 심사한다.
- Class-I 철도: 연간 매출 5억 달러 이상을 올리는 북미 최대 규모 철도사를 일컫는다. 2025년 기준 미국에는 BNSF, CSX, 캔자스시티 서던, 노퍽 서던, 유니언 퍼시픽 등 7개사가 있다.
전문가 전망과 시사점
시장 분석가들은 “해상·항공 운임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장거리 육상운송을 강화하려는 제조·유통 기업이 늘고 있다”며, 해안-간 철도망 구축이 “미국 내 공급망 회복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다만 규제당국이 모범사례로 남은 캔자스시티 서던-캐나다퍼시픽 합병(2023년 승인)을 기준으로 ‘공정경쟁 조항’을 엄격히 적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한다.
베나 CEO의 발언은 투자자 신뢰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콘퍼런스 직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유니언 퍼시픽 주가는 장중 2% 상승했다*현지 시각 13:00 기준*. 반면 노퍽 서던 주가는 “프리미엄이 이미 주가에 반영됐다”는 시각 속에 0.5% 내렸다.
“규제 심사 일정이 길어질수록 인수 프리미엄이 도리어 희석될 우려도 있다”
— 모건스탠리 운송 담당 애널리스트
결국 핵심은 STB 심사 기준 충족 여부다. 유니언 퍼시픽과 노퍽 서던이 제출할 세부 협약서에는 중복 노선양도·운임 상한제·현장 안전투자 계획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업계는 “각사가 노동조합·주 당국과 협력해 이해관계 조율에 성공할 경우, 2027년 조기 통합도 가능하다”고 내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