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가뭄 우려에 커피 선물 가격 상승

커피 선물 가격이 브라질 작황 부진 가능성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12월 아라비카 커피(ICE·코드 KCZ24)는 전일 대비 +4.20센트(+1.71%) 오른 파운드당 249.50센트에, 1월 로부스타 커피(ICE·코드 RMF25)는 +54달러(+1.25%) 오른 톤당 4,367달러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2025년 9월 1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주요 산지의 비정상적 가뭄이 커피 작황에 장기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 전반에 퍼지며 매수세를 자극했다.

브라질 민간 기상조사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전날 보고서에서, 최대 아라비카 재배 지역인 미나스제라이스주가 지난주 27.4㎜의 강우를 기록해 평년 대비 64% 수준에 그쳤다고 밝혔다. 미나스제라이스는 브라질 전체 아라비카 생산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 산지다.

주목

브라질 자연재해 모니터링 센터(세마덴·Cemaden)는 “1981년 이후 최악의 건조기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라비카 커피나무는 4∼9월 꽃이 피는데, 이 시기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면 2025/26년산 수확량이 크게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아라비카와 로부스타의 차이

아라비카(Arabica)는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와 고지대에서 재배돼 향이 부드럽고 산미가 뛰어나 ‘고급 커피’로 분류된다. 반면 로부스타(Robusta)는 열대 저지대의 고온다습 환경에서 자라며 카페인 함량이 높고 쓴맛이 강해 인스턴트·캔커피 원료로 많이 쓰인다.

로부스타 가격 역시 상승 압력을 받았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는 3월 26일 보고서를 통해 2023/24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20% 감소한 147만2,000t(4년 만의 최저치)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어 미 농무부 산하 해외농업국(USDA FAS)은 5월 31일, 2024/25년 베트남 로부스타 생산2,790만 포대(60㎏ 기준)로 소폭 하향 조정했다.

베트남 세관총국 자료에 따르면 9월 커피 수출은 전월 대비 -32.6% 감소한 5만1,369t을 기록했고, 1∼9월 누적 수출 역시 전년 동기보다 -11.7% 줄어든 110만t에 머물렀다.

브라질 국가공급회사 코납(Conab)은 9월 19일 보고서에서 2024년 브라질 총커피 생산 전망치를 5,480만 포대로 하향 조정해 추가 상승 재료를 제공했다. 이는 5월 전망치(5,880만 포대) 대비 400만 포대 감소한 수치다.

주목

재고 동향도 가격 상승에 무게를 실었다. ICE 창고 기준 아라비카 재고는 2023년 11월 기록한 24년 만의 최저치(224,066포대)에서 크게 회복됐으나, 2025년 9월 10일 현재 863,440포대에 그쳤다. 로부스타 재고는 7월 1년 9개월 만의 최고치(6,521계약) 후 3,904계약으로 6개월 저점을 기록했다.

다만 공급 증가 신호도 존재한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7일 2024년 8월 세계 커피 수출전년 대비 +6.5% 증가한 1,092만 포대를 기록했으며, 2023/24 회계연도 10∼8월 누적 수출+9.9% 증가한 1억2,567만 포대라고 발표했다.

브라질 커피 수출기관 세카페(Cecafe)도 10월 9일 “2024년 9월 브라질산 원두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34% 늘어난 410만 포대”라고 전했다. 앞서 7월 11일에는 2023/24년도 브라질 커피 수출이 사상 최대인 4,730만 포대(+33% YoY)에 달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공급 지표로, ICO는 5월 3일 2023/24년 세계 생산량전년보다 +5.8% 증가한 1억7,800만 포대, 소비량은 +2.2% 증가한 1억7,700만 포대100만 포대의 잉여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미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이 6월 20일 발표한 반기 보고서 역시 공급 과잉을 시사했다. 보고서는 2024/25년 세계 생산1억7,623만5,000포대(+4.2% YoY)로 늘고, 마감 재고2,578만 포대(+7.7%)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브라질 아라비카 생산이 4,820만 포대(+7.3%)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 유의사항으로, 기사 작성자인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해당 증권에 대해 직접·간접적으로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니다.

참고: 선물·재고 단위

‘포대(bag)’는 원두 60㎏, ‘계약(lot)’은 거래소가 정한 표준 물량을 뜻한다. ICE(Intercontinental Exchange)는 국제 원자재 파생상품 거래소로, 커피·설탕·코코아 등 소프트 상품 선물 거래를 관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