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EU에 “중·인도에 최대 100% 관세 부과해 푸틴 압박” 촉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중국과 인도산 수입품에 최대 1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해 러시아를 압박하자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5년 9월 10일, 인베스팅닷컴로이터 통신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EU 제재 특사인 데이비드 오설리번(David O’Sullivan) 및 여러 유럽 관계자들과의 화상 회의(conference call)에서 이 같은 요청을 전달했다.

로이터는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EU 외교관을 인용해,

주목

“워싱턴도 브뤼셀이 동참할 경우 동일한 관세를 부과할 준비가 돼 있다”

고 전했다.
※ 관세(Tariff)는 수입품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상대국 경제를 직접 겨냥하는 ‘무역 무기’다. 제재(sanction)가 금융·에너지·기술 등 특정 부문을 제한한다면, 관세는 상품 가격을 높여 수입 자체를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국과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의 ‘빅 바이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서방이 러시아산 에너지에 금수 조치를 취했지만, 두 국가는 할인된 가격으로 유입되는 원유 덕분에 구매량을 꾸준히 늘려 왔다. 결과적으로 모스크바 경제의 ‘산소호흡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EU는 지금까지 관세보다는 금융 제재·수출 통제 등 전통적 제재 수단을 선호해 왔다. 관세 인상은 역풍(報復關稅) 가능성, 내부 회원국 간 이해 상충, 소비자 물가 상승 위험 등 복합적인 변수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리투아니아, 폴란드 등 동유럽 일부 국가는 강경 입장이지만, 독일·프랑스 기업은 대(對)중국 수출 감소를 우려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주목

“인도와의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이며, 몇 주 안에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통화할 것”

이라고 밝혔다. 이는 EU 측에 ‘협상 중이니 여지를 남겨 달라’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전문가 분석·기자 의견

첫째, 미국이 고관세 카드를 러시아 제재 프레임에 편입하려는 시도는 다자(多者) 압박 전선을 구축한다는 점에서 전략적 의미를 갖는다. 둘째, 중국·인도의 러시아 원유 의존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복잡한 문제다. 관세 인상 시, 두 국가는 “내정 간섭”을 이유로 WTO(세계무역기구) 제소를 검토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EU 내부 산업 구조가 복잡해 단일 대오를 형성하기 어렵다는 점이 미국 전략의 최대 변수로 지목된다.

금융시장 측면에서 보면, 고율 관세 압박이 현실화될 경우 원유 가격이 반등하고, 달러 강세가 재연될 수 있다.
특히 에너지·원자재·해운 업종은 단기 수혜가 예상되지만,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확대될 경우 인플레이션 재점화 우려도 크다.

무역정책 전문가들은 “관세는 즉각적이지만 쌍방향 충격을 피하기 어렵다”면서 “EU가 미국 제안에 호응할지 여부가 향후 몇 주 동안의 시장 변동성을 좌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2024년 미국 대선 레이스에서 대중(對中) 강경 스탠스가 핵심 쟁점으로 부상한 가운데, 이번 제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레버리지로도 평가된다. 다만 EU가 동참하지 않을 경우 미국 단독 관세는 실효성이 제한될 수 있다.

결국 “브뤼셀의 최종 결단”이 관세 압박 전략의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국제 사회는 트럼프-모디 통화, EU 재무장관 회의, G20 무역장관 회담 등 향후 외교 스케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