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주 매도세에 뉴욕증시 하락 마감

뉴욕증시가 9월 2일(현지시간) 기술주 중심의 약세에 밀리며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S&P 500 지수는 전장 대비 -0.64% 내린 4,XXX선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0% 하락한 3X,XXX선에서, 나스닥 100 지수는 -1.22% 급락한 1X,XXX선에서 각각 장을 마쳤다. 선물시장에서 9월물 E-미니 S&P(ESU25)는 -0.68%, 9월물 E-미니 나스닥(NQU25)은 -1.31% 떨어졌다.

2025년 9월 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시장은 반도체·컴퓨터 하드웨어 업종의 실적 쇼크와 성장주에 대한 차익실현 물량이 맞물리며 하방 압력이 커졌다.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는 데이터센터 매출 부진 여파로 -18% 폭락했고,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도 AI 서버 수익성 둔화 우려로 -8%대 하락하며 업종 전반의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8월 시카고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예상치 46.0을 밑도는 41.5로 급락했고,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도 58.6에서 58.2로 하향 수정되면서 경기 둔화 공포가 재부상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여기에 미국의 7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전년 대비 2.9%로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연준 목표치(2%)를 크게 상회하며 물가 경계심을 자극했다.

주목

▶ 소비·물가·금리, 엇갈린 신호
동시에 7월 개인소비지출은 전월 대비 0.5% 늘어 4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보이며 미국 내 수요가 여전히 탄탄함을 시사했다. 반면 인플레이션 기대는 완화 조짐을 보여 미시간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이 4.9%에서 4.8%로, 5~10년 기대인플레이션은 3.9%에서 3.5%로 각각 하향 수정됐다.

▶ 연준 인사들의 ‘비둘기파’ 기류
크리스토퍼 월러(Christopher Waller) 연준 이사는 “9월 FOMC 회의에서 25bp(0.25%p) 금리 인하가 적절하다”면서 “향후 3~6개월 동안 추가 완화가 필요하다”고 밝혔고, 메리 데일리(Mary Daly)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 역시 “곧 통화정책을 조정할 시점”이라며 완화적 입장을 내비쳤다. 이에 연방기금(FF) 금리선물은 9월 16~17일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8%로, 10월 28~29일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반영했다.

▶ 무역정책 변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디지털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에 대응해 첨단기술·반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했으며, 일주일 전엔 철강·알루미늄 관련 400여 소비재에도 관세를 확대 적용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예고된 관세가 모두 실행되면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3%에서 15.2%로 치솟는다”고 계산했다.


해외증시·채권시장 동향
유럽 Stoxx 50 지수는 -0.83%로 2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7% 상승, 일본 닛케이225는 -0.26% 하락했다.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은 4.227%로 2.4bp 상승, 독일·영국 10년물 금리도 각각 2.9bp, 2.2bp 올라 물가상승 압력을 반영했다. 독일 8월 조정 CPI는 전년 대비 2.1%로 예상을 웃돌았고, 실업자는 9,000명 감소해 고용시장이 견조함을 보였다.

주목

▶ 용어 풀이
PCE 물가지수는 미국 가계가 실제로 지출한 물가 변동을 측정하며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 지표다. FOMC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회의로, 기준금리·양적완화 등을 논의한다. T-note는 만기 2~10년의 미국 국채로, 금리·물가 전망을 가늠하는 핵심 자산이다.


기업·섹터별 움직임

반도체주가 연쇄 급락했다. 마벨(-18%)을 비롯해 램리서치(-4%), 브로드컴·엔비디아·AMD(-3% 이상) 등이 동반 하락했고, ARM·ASML·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마이크론 등도 -2%대를 기록했다.

컴퓨터 하드웨어 업종에서는 델(-8%)이 실적 부진으로
슈퍼마이크로컴퓨터(-5%),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2%대)까지 낙폭을 키웠다.

소비재 섹터에서는 울타뷰티(Ulta Beauty)가 양호한 매출에도 소비 둔화 경고로 -7% 급락했고, 캐터필러(Caterpillar)는 관세 부담 18억 달러 경고에 -3% 하락했다. 달러제너럴도 비용 압박 우려로 -2%대를 기록했다.

가상자산 관련주도 비트코인 가격이 7주 만의 최저치로 밀리자 갤럭시디지털(-4%), 코인베이스·마이크로스트래티지(-1% 이상)가 약세를 보였다.

상승 종목도 존재했다. 오토데스크(+9%)는 매출 서프라이즈와 상향된 3분기 가이던스로, 암바렐라(+16%)는 EPS·중장기 성장률 상향으로 급등했다. 어펌홀딩스(+10%), 센티넬원(+6%), 펩시코 지분 확대 호재를 받은 셀시어스홀딩스(+5%)도 강세를 나타냈다.

건강보험주 모디나는 +3% 이상, 유나이티드헬스·일러배스·센틴 등은 +2% 안팎으로 방어적 성격을 드러냈다.


실적 시즌·향후 일정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9.1% 증가해 4년 만의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전체 500개 기업 중 95%가 실적을 발표했으며, 82%가 시장 추정치를 상회했다. 9월 2일 이후에는 아카데미 스포츠&아웃도어스(ASO), 헬스이쿼티(HQY), 시그넷 쥬얼러스(SIG), 지스케일러(ZS) 등이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기업·자산에 대해 필자는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으며,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닌 참고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