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된 미국 경제지표에 달러 소폭 하락 마감

달러화 지수(DXY)가 8월 29일(금) 거래에서 전일 대비 0.02%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장 초반 미국 7월 개인소비 지출 증가와 근원 PCE 상승에 힘입어 반등했으나, 시카고 공급관리협회(PMI)미시간대 소비자심리 지수가 예상치를 밑돌자 약세로 돌아섰다.

2025년 9월 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이날 달러 약세에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이사 크리스토퍼 월러의 ‘9월 25bp 기준금리 인하’ 지지 발언도 한몫했다. 월러 이사는 “향후 3~6개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며 물가 안정과 고용시장 둔화 리스크 관리를 강조했다.

달러 매도 압력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도 확대됐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연준 이사 리사 쿡 해임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해외 투자자 사이에서 ‘연준 독립성 훼손→달러 신뢰 저하→자본 유출’ 가능성이 제기됐다.

주목

미국 주요 경제지표

• 7월 개인소비 지출(PCE) 전월 대비 +0.5%로 4개월 만의 최대 폭 증가, 컨센서스 부합.
• 7월 개인소득 +0.4%, 전망치 일치.
7월 근원 PCE 물가 연율 +2.9%로 5개월 최고치.
• 8월 시카고 PMI 41.5(-5.6p), 예상 46.0 하회.
• 8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 지수 58.2(하향 수정), 예상 58.6.

이처럼 소비·물가 지표는 견조하지만 제조업·심리지표는 부진해, 시장 참여자들은 혼재된 신호에 직면했다.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8%, 10월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반영 중이다.


유로·엔 등 주요 통화 동향

EUR/USD는 0.11% 상승했다. ECB 7월 소비자물가 기대가 1·3년 모두 예상치를 웃돌았고, 독일 8월 CPI도 전년 동월 대비 +2.1%로 시장 예상 +2.0% 상회하며 유로화를 지지했다. 다만 독일 7월 소매판매 -1.5%는 소비 둔화 우려를 키웠다.

USD/JPY는 0.07% 상승(엔화 약세)했다. 일본 7월 산업생산 -1.6%, 소매판매 -1.6%가 동반 부진했으며, 도쿄 8월 CPI가 예상대로 둔화해 BOJ 완화정책 지속 전망이 강화됐다. 다만 7월 실업률이 2.3%로 5년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해 낙폭은 제한됐다.

주목

귀금속 시장 강세

12월물 금 선물은 1.20%(+41.80달러) 올라 3주 최고치를 경신했고, 9월물 은 선물은 2.58% 상승해 14년 내 최근월물 최고치를 찍었다. 미국·독일발 ‘끈질긴 인플레이션’금의 인플레 헤지 수요를 자극했다. 여기에 트럼프發 연준 독립성 논란과 프랑스 정치 불안까지 겹치며 안전자산 선호가 확대됐다.

“근원 인플레이션이 2% 근방이고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고정된 상황에서 고용시장 위험을 고려하면 지금이 금리 인하를 시작할 적기다.” ―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

ETF 자금 흐름도 기계적 매수세를 뒷받침한다. 전일 기준 금 ETF 보유량이 2년래 최고, 은 ETF 보유량도 3년래 최고를 기록했다.


전문가 해설: 달러 방향성은?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선제 인하’를 단행할 경우 달러 약세 압력이 커질 것으로 본다. 특히 근원 PCE 2.9%는 인플레 목표(2%)와의 괴리를 재확인시켰으나, 실물경기 일부 둔화 지표가 연준으로 하여금 위험관리 차원의 완화정책을 고민하게 만든다는 진단이다. 유럽과 일본 역시 뚜렷한 긴축 여력을 보이지 못하고 있어, 금리 스프레드 축소가 달러 지수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중동·우크라이나 지정학 리스크, 미국 대선 경합 등 불확실성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달러가 ‘최종 피난처’로 다시 부각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적 약세가 추세적 하락으로 이어질지는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용어 설명

PCE 물가 지수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로, 미국 연준이 가장 중시하는 물가 지표다. 근원 PCE(Core PCE)는 변동성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다.
시카고 PMI는 중서부 제조업 경기의 선행지표로, 50 이상이면 확장, 50 미만이면 위축을 의미한다.
근거금리(Federal Funds Rate)는 미국 은행 간 초단기 자금 거래에 적용되는 금리로, 연준의 대표적 정책수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