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7월 건설 지출, 예상 밖 0.1% 감소…2023년 9월 이후 최저치

미국 상무부(Commerce Department)가 2일(현지 시각) 발표한 공식 통계에 따르면 2025년 7월 미국의 전체 건설 지출(Construction Spending)이 전월 대비 -0.1% 감소한 연율 2조1,390억 달러(약 2.139 trillion dollars)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이 전망한 +0.1% 증가 예상치를 뒤엎은 결과이며, 2023년 9월 기록한 2조1,230억 달러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25년 9월 2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수치는 6월 수정치(연율 2조1,410억 달러, -0.4%)에 이은 두 달 연속 감소다. 예상 밖 하락은 미국 경기 회복세에 대한 일부 의문을 제기하며,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경로와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세부 항목을 보면 민간 부문 지출(private construction)이 -0.2% 감소해 연율 1조6,230억 달러에 머물렀다. 이 가운데 비주거용(non-residential) 건설이 -0.5% 줄어 7,367억 달러를 기록, 주거용(residential) 건설(+0.1%) 증가분을 상쇄했다. 주거용 건설은 연율 8,865억 달러로 나타났으나, 이는 여전히 코로나19 이후 고점 대비 둔화된 수치다.

주목

반면 공공 부문 지출(public construction)은 +0.3% 증가해 5,158억 달러로 집계됐다. 도로·교량·학교 등 인프라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 및 지방정부의 재정투입이 이어진 결과로 해석된다.

“예상치를 하회한 이번 지표는 민간 투자 심리가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음을 방증한다.”
— 뉴욕 소재 한 글로벌 IB 건설·인프라 담당 애널리스트 분석

‘연율(Annual Rate)’이란?

연율은 한 달간의 실적을 12개월로 환산해 계산한 수치다. 즉, 실제 지출액이 아니라 해당 월의 추세가 1년간 지속된다는 가정 아래 산출된 ‘연환산’ 값으로, 월간 변동성을 완화해 장기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 쓰인다.

시장·정책적 함의

건설 지출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4%를 차지하는 중요 경기지표다. 주거용·비주거용·공공 건설 모두 고용·소비·자본재 수요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두 달 연속 감소는 3분기 GDP 추정치 하향 조정 가능성을 내포하며, 연준이 향후 금리 인하 속도를 재조정할 명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특히 비주거용 건설이 -0.5%로 크게 위축된 점은 기업의 설비투자 심리가 약화됐음을 의미한다. 이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공실률 상승, 원자재 가격 변동, 고금리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주거용 건설이 소폭 반등한 것은 모기지 금리 하락 기대와 재고 부족 현상이 일부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목

전망 및 리스크 요인

단기적으로는 물가·금리 환경이 건설 투자 흐름을 결정할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될 경우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져 민간·주거용 건설이 탄력을 받을 수 있지만, 반대로 물가 상승이 지속되면 연준의 긴축 기조가 길어지며 건설 투자 위축이 심화될 수 있다. 또한 노동력 부족과 공급망 병목 현상은 여전한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국내외 투자자 유의점

미국 건설 지출 지표는 글로벌 경기와 상품·서비스 수요의 선행지표로 간주된다. 한국을 포함한 해외 건자재·철강·기계 업체는 미국 발주 물량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에, 이번 결과와 향후 발표되는 고용·소비 지표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헤지펀드·국부펀드 등 기관투자자들은 비주거용 건설 둔화를 근거로 상업용 부동산 채권·리츠(부동산투자신탁)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에 나설 수 있으며, 이는 국내 증시에도 파급될 가능성이 있다.

결론

2025년 7월 미국 건설 지출은 -0.1% 감소하며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특히 민간 부문과 비주거용 건설의 동반 약세가 두드러졌으며, 공공 투자가 어느 정도 방어막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지표는 향후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성과 글로벌 투자 흐름을 가늠할 주요 변수로, 투자자 및 정책 관계자들이 예의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