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12월 시행 앞둔 10대 SNS 금지…안면 인식 연령 확인 소프트웨어 정확도 논란

시드니발—호주 정부가 의뢰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셀피(셀프 카메라) 기반 연령 추정 소프트웨어가 오는 12월부터 예정된 10대 소셜미디어 이용 금지를 집행하는 데 활용될 수 있지만, 특정 집단에서 “수용 불가능한 수준”의 오차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2025년 9월 1일, 로이터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사진 기반 연령 추정 기술이 전반적으로 빠르고 개인정보를 잘 보호한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만 16세 전후 연령대에서는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를 지적했다.

보고서는 기술적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주목

“19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시스템이 높은 정확도를 보이지만, 기준 연령(16세) 주변 3년 이내 사용자들은 불확실성이 커지는 회색지대가 존재한다”

고 밝혔다.


1. 주요 수치와 규제 내용

호주 의회가 통과시킨 새 규제는 오는 12월부터 만 16세 미만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접근을 원칙적으로 차단한다. 해당 법에 따라 메타(Meta)의 인스타그램, 알파벳(Alphabet)의 유튜브 등 플랫폼 사업자는 “합리적인 조치”를 취해 미성년자를 차단해야 하며, 이를 위반하면 최대 A$4,950만(미화 약 3,200만 달러)의 과징금을 부과받는다.

시범 적용 결과, 19세 이상의 경우 연령 추정 성공률이 높았지만, 13~19세 사이 특히 16세 전후 3년 구간에서는 정확도가 뚜렷이 저하됐다. 보고서는 16세 사용자8.5% 확률로 미성년(만 15세 이하)으로 잘못 판단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2. 인종·성별 편향 문제

보고서는 추가적으로 백인(Caucasian) 남성에게서는 오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비(非)백인 인종과 여성 지향적 외모를 가진 청소년에게서는 오류율이 높다고 적시했다.

주목

“특정 집단에서 나타나는 정확도 저하는 정책 임계값 근처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다”

는 경고가 담겼다.

University of Sydney 온라인 안전 전문가 저스틴 험프리(Justine Humphry) 교수는 “도입 시점까지 3개월 남짓밖에 남지 않았는데, 시스템 정확도 편차가 크다는 점이 우려된다”면서 “안정적이고 견고한 시스템을 연내 구축하기에는 시간이 촉박하다”고 평했다.


3. 정부·업계 반응

애니카 웰스(Anika Wells) 통신장관은 “만능 솔루션은 없지만, 이번 시험을 통해 여러 효과적인 방법이 존재하며 개인정보도 보호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플랫폼 사업자들은 다단계 인증·보호자 동의·공문서 인증 등 보완책을 병행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그에 따른 운영 비용 및 법적 리스크가 증가할 전망이다.


4. 전문 용어 해설

셀피 기반 연령 추정(Age Estimation)은 사용자가 촬영한 얼굴 사진을 인공지능 모델에 입력해 나이를 추정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안면 인식(face recognition)과 달리 개인 신원을 식별하지 않고 나이 범위를 추산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줄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합리적인 조치(Reasonable Steps)는 규제 당국이 플랫폼에 요구하는 준수 의무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구체적으로는 연령 확인, 콘텐츠 필터링, 보호자 모니터링 도구 제공 등이 포함될 수 있다.


5. 기자의 시각 및 전망

기술 편향 문제는 딥러닝 모델 학습 데이터 분포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보고서가 제기한 인종·성별 편향은 AI 거버넌스 전반의 과제로, 향후 호주 규제가 세계 각국의 연령 확정 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또한 과징금 규모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글로벌 플랫폼들은 내부적으로 복수의 인증 절차를 병행하며 법적 위험을 최소화하려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경험이 복잡해질 수 있으며, 사생활 보호와 아동·청소년 보호 간 균형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 미성년자들이 우회 계정을 생성하거나 가족 회원 정보를 활용할 가능성도 존재해, 규제의 실효성은 기술·교육·법제 삼각 축이 동시에 강화될 때 확보될 것으로 보인다.


($1 = 1.5389 Australian doll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