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6개월, 우리 지갑에 나타난 6가지 변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집무를 시작한 뒤 단 6개월 만에 미국 소비자와 투자자, 기업의 재정 환경은 요동쳤다. 관세·무역전쟁, 세제 개편, 증시 급락과 급등 등 굵직한 이슈가 연이어 터지며 미국 가계의 실질 구매력과 자산 구성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왔다는 평가다.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경제‧재정 정책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갈래 경로를 통해 미국인의 지갑을 직접적으로 흔들고 있다. 아래에서는 각 항목별 구체적 수치를 포함해 정책 효과를 정리한다.

특히 관세 부과에 따른 가격 인상 가능성이 실질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을 비롯해, 물가·고용·세 부담 등의 거시 경제지표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목

1. 대규모 소비 ‘러시’: 가격 인상 공포가 부른 조기 구매

올해 초 잇따른 관세 부과 예고로 소비자들은 ‘가격이 더 오르기 전에 사두자’는 심리에 휩싸였다. 소매·유통 분석기업 트랜스유니온(TransUnion)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미국 신용카드 잔액은 1조700억 달러로 2022년 같은 기간 7,690억 달러에서 크게 증가했다. 쿠폰 할인 플랫폼 쿠폰스네이크의 소비자 금융 전문가 아론 라존은 “채찍처럼 오락가락하는 관세 발표가 불안을 키워 필요 여부와 상관없이 지출을 앞당기는 현상을 낳았다”고 설명했다.

2. 끈질긴 물가 불확실성: 관세 효과, 이제 막 본격 반영

미 노동통계국(BLS)이 발표한 최근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급등세를 기록했다. 페퍼다인대학 브랜던 파슨스 경제학 교수는 “수입업체 재고와 협상 지연이 초기엔 가격을 눌러뒀지만, 4월 2일부로 발효된 의류 관세만으로도 의류 가격이 8% 급등했고, 올해 누적 상승률은 17%”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2025년 누적 자동차 관세의 영향으로 차량 가격이 평균 8.4% 뛰어 신차 한 대당 약 4,000달러가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3. 금속 가격 급등: 철강·알루미늄·구리 관세의 파급

주요 금속에 대한 고율 관세는 자동차·가전·주택 신축·리모델링 등 생활 전반에 파고들었다. 워싱턴 소재 공정성장센터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 분야 생산비가 2%~4.5% 상승했다. 파슨스 교수는 “제조 원가 증가 → 제품 가격 상승 → 수요 위축이라는 구조가 형성되면 매출 감소와 실업 확대, 가처분소득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4. 채용·설비투자 위축: 규제 환경 불확실성이 부른 기업 보수화

정책 변화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기업들은 장기 계획 수립에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CBS 뉴스가 인용한 7월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과 건설업 고용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됐다. 보고서는 “관세 시행 여부가 시시각각 바뀌면서 노동시장이 흔들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목

5. 증시 과열: 개인투자자 매수세로 사상 최고치 경신

기업들의 보수적 행보와 달리 개인투자자들은 주식시장으로 몰려들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다우지수 등 주요 지수는 7월 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투자 정보 플랫폼 구루포커스(GuruFocus)는 8월 1일 기준 S&P 500 주가수익비율(PER)이 28.79배라고 밝혔다. 이는 장기 중앙값 17.97배를 크게 웃돈다.주가수익비율(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기대이익 대비 주가가 비싸다는 의미다.

또한 일명 ‘버핏 지표’(주식 시가총액÷국내총생산) 역시 208.3%로, 역사적 평균 범위(100%~150%)를 크게 상회했다.

버핏 지표는 전설적 투자자 워런 버핏이 시장 고평가 여부를 판단할 때 쓰는 지표로, 100%를 넘어서면 과열 구간으로 본다.

여기에 ‘밈 주식’(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급등하는 종목) 열풍이 재점화돼 거품 논란이 커지고 있다.

6. 당장은 낮은 세금: ‘원 빅 뷰티풀 빌’의 단 맛과 쓴 맛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One Big Beautiful Bill Act는 대부분의 납세자에게 실효세율 인하 효과를 줬다. 7월 볼터스 클루버(Wolters Kluwer) 설문에서 경제학자의 56%가 “이번 세제 개편이 경기 부양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초당파정책센터(Bipartisan Policy Center)는 향후 10년간 3조4,000억 달러의 재정 부담이 발생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부채 확대가 심화되면 차후 행정부와 의회가 증세 카드를 꺼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지금은 세금 공제와 크레디트를 누릴 수 있지만, 이 혜택이 영구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해설

PER(Price-Earnings Ratio):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가늠하는 대표적 밸류에이션 지표다.

버핏 지표: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을 국내총생산(GDP)으로 나눈 수치. 100%를 넘으면 시장이 과대평가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밈 주식(Meme Stock): 인터넷 커뮤니티·SNS에서 밈처럼 확산돼 단기간 급등세를 보이는 종목을 뜻한다. 기업 실적보다는 온라인 여론이 주가를 좌우하는 특징이 있다.


편집자 주 : GOBankingRates는 초당적 입장을 견지하며 경제 기사 보도 시 균형을 지키고자 노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