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만 기다리는 악순환 탈출? 금융 전문가 수전 오먼이 제안하는 5대 절약 전략

미국인의 절반가량이 ‘손에 쥐는 즉시 사라지는 월급’(paycheck-to-paycheck) 생활을 하고 있다는 통계가 반복해서 발표되는 가운데, 재정 전문가 수전 오먼(Suze Orman)이 “팍팍한 가계에서도 즉시 적용할 수 있는 5가지 절약 전략“을 공개했다.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오먼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저축을 못 한다는 말은 ‘습관’의 문제이지 ‘소득’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스스로를 우선순위에 두는 결단이야말로 경제적 자립의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


Can’t라는 단어를 사전에서 지워라”

오먼은 “취소선 저축은 불가능하다라는 표현을 머릿속에서 지우라”고 주문한다. 매달 자동이체되는 10달러, 배달 음료 한 잔, 점심값 등 작은 지출이야말로 은퇴계좌로 흘러들어갈 숨은 돈(hidden money)이라는 설명이다.

주목

자신을 지출 구조의 최우선으로 두라”

오먼은 오프라닷컴(Oprah.com) 기고문에서 공과금 10% 절감을 첫 번째 과제로 제시했다. 전기료·수도료만 줄여도 매달 수십 달러가 ‘새는 돈’을 막는 댐이 된다는 뜻이다. 신용카드 명세서를 한 줄 한 줄 분석하다 보면, 자동 결제된 스트리밍 서비스나 중복 구독료처럼 비슷한 항목이 발견되기 마련이다.

신용카드 명세서는 재무 MRI다. 어디에서 돈이 새는지 보여주는 정밀 촬영 결과와 같다.” — 수전 오먼

저축 자동화로 개입 여지를 없애라”

오먼은 “급여가 통장에 들어오기 전에 일정액을 자동 이체로 분리하면, 돈이 ‘눈앞에 없다’는 이유로 손대지 않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 달 50달러라도 1년이면 600달러, 10년이면 원금만 6,000달러가 쌓인다. 특히 미국의 로스 IRA(Roth IRA)처럼 세후(稅後) 수익이 비과세인 계좌에 넣으면 복리 효과가 극대화된다.

※ 참고 | Roth IRA란?
Roth IRA는 불입 시점에 세금을 내고 55 세 이후 인출 때 과세되지 않는 미국의 개인연금 계좌다. 한국의 개인형 퇴직연금(IRP)·연금저축계좌와 과세 구조가 다르므로, 국내 투자자는 ‘세후 수익 비과세’라는 개념만 참고하면 된다.

원츠(wants)와 니즈(needs)를 구분하라”

구매 직전 스스로에게 던질 질문은 단 하나다. “이것은 필요인가, 욕구인가?” 의약품·식료품은 필요, 새 휴대전화 케이스는 욕구다. 오먼은 “‘무심코 사는’ 욕구 품목이 줄어드는 순간, 통장이 숨통을 튼다”고 강조한다.

주목

8~12개월치 예비비를 만들어라”

대부분의 가계는 3개월치 비상자금도 버겁다. 그러나 오먼은 8~12개월 생활비를 목표로 잡으라고 말한다. 주 20달러만 떼어놓아도 1년이면 1,040달러, 5년이면 5,200달러다.

자신의 필요 범위 안에서, 그러나 소득 이하로 살아야 한다.” — 수전 오먼


‘월급날’ 함정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천 로드맵

① 고정비 10% 삭감 ▶ ② 자동이체로 ‘선(先)저축·후(後)소비’ ▶ ③ 원츠·니즈 즉시 판단 ▶ ④ 비상자금 1년치 확보. 오먼은 “6자리 연봉이 아니어도 체계만 세우면 얼마든지 저축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해당 조언은 미국 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국내 가계도 공과금 절감·자동 저축·필수·비필수 구분 등 행동 경제학적 원칙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비상자금 8~12개월분경기 침체·구직 공백·의료비 등 한국 가계가 직면할 리스크에도 유효한 안전판이 된다.

오먼이 제시한 다섯 가지 원칙은 모두 ‘작은 액션’을 전제로 한다. 즉, 소득 규모와 무관하게 실행 가능한 구체적 행동이라는 점이 핵심이다. 전문가들은 “원금을 불리는 첫 관문은 ‘금액’이 아닌 ‘습관’“이라면서, 생활비의 1%라도 꾸준히 모으면 복리(pairing of compounding)가 시간의 레버리지로 작동한다고 설명한다.

요컨대 ‘월급날이 고통스러운 이유’는 급여 규모 자체보다 소비와 저축의 우선순위가 뒤바뀐 결과인 경우가 많다. 오먼의 조언은 ‘습관 검열’→‘지출 다이어트’→‘선제적 저축’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루프를 만드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한편, CNBC·나스닥닷컴·오프라닷컴 등 미국 주요 경제·라이프스타일 매체는 ‘숨은 돈 찾기’ 캠페인을 통해 가계 경제의 주도권을 개인이 회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발신하고 있다. 이는 고용·금리·물가라는 거시 지표와 별개로, 개별 가계가 실천할 수 있는 마이크로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방증이다.

기자 해설 | ‘paycheck-to-paycheck’란?
직역하면 ‘월급에서 월급까지’라는 뜻으로, 급여가 들어오면 즉시 필수지출에 소진되고 다음 급여일까지 여유 자금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국내에서도 ‘N포 세대’ ‘카드 돌려막기’ 등의 표현으로 유사한 현상이 논의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