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대두 선물 강세…전월물 5~8.5센트 상승하며 매수세 복귀

시카고 선물시장에서 대두(콩) 가격이 8월 29일(현지시간) 금요일 장 마감 기준 전월물 5~8.5센트 상승하며 상승 흐름을 재개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11월물 가격이 4센트 하락했으나, 당일장에서는 매수세가 뚜렷해 ‘불(Bull) 진영’의 힘이 확인됐다는 평가다.

2025년 8월 3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cmdtyView가 집계한 전국 평균 현물 대두 가격은 $9.79로 전일 대비 5.75센트 상승했다. 대두박(소이밀) 9월물은 2.70달러 하락했으나 다른 월물은 0.50달러 상승해 전반적으론 혼조세를 보였고,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은 25~33포인트 하락했다. 미국 노동절(Labor Day) 연휴로 9월 1일 월요일에는 휴장하며, 1일 밤 전자거래를 통해 2일(화) 거래가 재개될 예정이다.

cmdtyView 현물 대두 가격 그래프

주목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자료에 따르면, 8월 26일 기준 대두 선물·옵션에서 매니지드 머니(기관투자가) 순매수 포지션이 20,818계약으로 한 주 새 20,815계약 확대됐다. 같은 기간 상업 부문(실수요·헤지 목적) 순매도 포지션은 124,515계약으로 10,364계약 증가했다.

여기서 ‘관리 자금(Managed Money)’은 헤지펀드·CTA와 같은 투기적 자금을 의미하고, ‘상업 부문’은 곡물 가공업체나 수출업체처럼 실물 헤지를 목적으로 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수출 동향을 보면, 기존(구작) 대두 수출 누계 약정은 5,086만9,000톤으로 미 농무부(USDA) 전망치의 100%를 충족했으나, 통상 평균 진척률 103%에는 못 미친다. 새로운 마케팅연도(신작) 수출 누계는 722만8,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8% 감소했으며, 중국의 매수 공백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된다.

대두박 선물 가격

가공(크러시) 지표도 주목된다. 월간 대두 크러시 통계(7월분)는 휴일로 인해 9월 2일(화) 발표 예정이며, 시장 예상치는 평균 2억 710만 부셸(207.1 mbu)이다. 추정 범위는 2억 480만~2억 1,200만 부셸이며, 발표 수치는 향후 대두유 재고와 가공마진에 직접 영향을 줄 전망이다. 애널리스트들은 대두유 재고가 18억 9,500만 파운드 수준일 것으로 보고 있다.

주목

에너지정보청(EIA) 자료에 따르면, 6월 한 달 동안 10억 4,500만 갤런의 대두유가 바이오디젤 생산에 사용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바이오디젤 수요 확대는 대두유 가격 지지 요인이지만, 당일 대두유 선물은 차익 실현 매물로 하락 마감했다.

대두유 선물 가격

세부 가격(8월 29일 종가)*달러·센트/부셸괄호 안은 전일 대비
9월 2025 대두 선물: $10.36¾ (+8.5¢)
11월 2025 대두 선물: $10.54½ (+6.5¢)
1월 2026 대두 선물: $10.72½ (+5.75¢)
근월 현물(Spot) 평균: $9.79 (+5.75¢)
신작(2025/26) 현물 전망: $9.74¼ (+6.25¢)


전문가 해설 및 전망 이번 주 대두 시장은 매물 소화 과정 속에서도 네거티브 요소보다 포지션 재정비와 수요 기대가 우세했다는 평가다. 특히 기관투자가의 순매수 전환폭(+20,815계약)이 심리적 지지를 제공했다. 그러나 중국의 신규 구매 부재대두유 선물 하락은 상승 탄력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병존한다.

투자자들은 9월 2일 발표될 ‘NOPA 월간 크러시 통계(예상 207.1 mbu)’와 9월 5일 예정된 USDA 주간 수출판매 보고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예상치를 상회하는 크러시 또는 대중국 수출 재개 신호가 확인될 경우, 11월물 10.60달러선을 돌파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원자재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두·옥수수·소맥(밀) 간 상대가치(스프레드) 전략도 재부상하고 있다. 대두-옥수수 가격 비율(현재 약 2.45배)가 역사적 평균(2.35~2.40배)에 근접하면서, 일부 펀드는 대두 롱·옥수수 숏 포지션을 축소하거나 반대로 재조정하고 있다.


주요 용어 해설
• CFTC(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로, 선물·옵션 시장의 거래 감시 및 규제를 담당한다.
Managed Money: 헤지펀드·CTA(상품거래자문업자) 등 투기적 성격의 기관투자가 포지션을 지칭.
• 크러시(Crush): 대두를 분쇄해 대두박·대두유를 생산하는 공정을 의미하며, 크러시 마진은 가공 수익성을 나타낸다.
• NOPA(National Oilseed Processors Association): 미국 유지종자 가공협회로, 월간 크러시 통계를 발표한다.
•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미국 에너지정보청으로, 에너지 관련 생산·소비 통계를 제공한다.


※ 기사 작성 시점 기준, 필자 Austin Schroeder는 기사에 언급된 어떤 종목에도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지 투자 자문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