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 선물가격이 8월 마지막 거래일인 금요일(현지시간) 미 3대 선물거래소에서 일제히 상승세를 나타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의 연질 적색 겨울밀(Soft Red Winter, SRW) 9월물은 전장 대비 3~5.25센트 올랐고, 캔자스시티거래소(KCBT) 경질 적색 겨울밀(Hard Red Winter, HRW) 9월물도 2~4.75센트 상승했다. 미니애폴리스거래소(MGEX) 봄밀(Spring Wheat) 9월물은 1~6.5센트 오르며 세 개 거래소 모두 녹색 불을 켰다.
2025년 8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강세는 최근 공매도 청산(short covering)이 동반된 결과다. 실제로 전일 대비 미결제약정이 10,649계약 감소하며 숏포지션 정리가 확인됐다. 그밖에 캔자스시티 거래소 9월물에는 밤사이 328건의 인도 통지(delivery)가 발행돼 실물 인도 움직임이 활발했다.
“남부 평원(Southern Plains)에 1~3인치(약 25~75㎜)의 비가 예보되면서 겨울밀 파종에 긍정적 환경이 조성될 전망”이라는 기상 예보가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반면 북부 평원(Northern Plains)의 노스다코타·몬태나·태평양북서부(PNW) 일부 지역은 다소 건조할 것으로 예상돼 봄밀 수확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거래 일정도 단기 수급에 영향을 미쳤다. 미국 노동절(Labor Day) 연휴로 현지 기준 월요일(9월 1일) 현물·선물 시장이 휴장하고, 월요일 밤 전자거래(Globex)부터 화요일 세션이 정상 개장한다.
수출 동향도 낙관적이다. 29일(목) 발표된 미국 농무부(USDA)의 주간 수출판매(Export Sales) 보고서에 따르면, 2025/26 마케팅연도 누적 판매량(선적 완료·미선적 포함)은 1,215만2,000t(MMT)으로 USDA 연간 전망치의 51%를 달성했다. 이는 5년 평균(47%)을 웃돌 뿐 아니라, 같은 주 기준으로는 2013/14년 이후 최대 규모다.
주요 월물 종가(31일 기준)*단위: 달러/부셸
• CBOT 2025년 9월물 : 5.15 1/2달러(▲5.25센트)
• CBOT 2025년 12월물 : 5.32 1/4달러(▲3.25센트)
• KCBT 2025년 9월물 : 4.91 1/2달러(▲4.75센트)
• KCBT 2025년 12월물 : 5.18 1/4달러(▲2.5센트)
• MGEX 2025년 9월물 : 5.61 3/4달러(▲6.5센트)
• MGEX 2025년 12월물 : 5.78 3/4달러(▲1.5센트)
용어 해설
CBOT(Chicago Board of Trade)는 세계 최대의 선물·옵션 거래소 중 하나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 산하)에 속한다. KCBT는 캔자스시티 밀 선물시장의 대표 거래소이며, MGEX는 미니애폴리스 소재 곡물거래소다. SRW·HRW·Spring Wheat은 각각 미국의 대표 밀 품종으로, 글루텐 함량과 재배 지역이 달라 제분·제빵용도에 차이가 있다.
전문가 시각
시장 참가자들은 “남부 평원의 강우가 단기적으로는 작황 불확실성을 완화하겠지만, 장기적으로 파종 면적 확대를 유도할 경우 공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다. 또한 미결제약정 감소가 추가 숏커버링 공간을 남겨 놓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달러화 강세와 흑해(Black Sea) 지역 수출 재개 여부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중장기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가 요구된다.
자료 및 면책
기사 작성 당시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본문에서 언급한 선물·옵션 상품에 직·간접적으로 어떠한 포지션도 보유하고 있지 않았다.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이 아니다.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Barchart) 공시 정책을 참고하면 된다.
*부셸(bushel)은 미국 곡물 거래에서 사용되는 중량 단위로, 밀의 경우 약 27.2kg에 해당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