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의장 발언에 달러 급락·금값 급등…연준 조기 금리인하 가능성 부상

[외환·귀금속 시장 동향] 22일(현지시각) 달러 인덱스(DXY)는 ‑0.57% 하락하며 1주일 반 만의 고점을 반납했다.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이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어 통화정책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완화적(도비시) 발언을 내놓은 것이 주요 배경이다. 같은 날 10년 만기 미 재무부(미국 국채) 금리도 1주일 최저치인 4.248%로 떨어지며 달러 약세를 부추겼다.

2025년 8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잭슨홀 심포지엄 이후 개최된 연설에서 “실업률 등 노동시장이 안정된 만큼, 통화정책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여지가 생겼다”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 두었다. 반면 보스턴 연은(연방준비은행) 수전 콜린스 총재는 “현재 정책은 ‘완만하게 제약적(mildly restrictive)’ 수준이며, 물가 상방 위험이 여전하다”고 강조했다.

정책금리가 제약적 구간에 진입해 있는 만큼, 경기·물가·고용 간 균형을 살펴 정책 스탠스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연방기금(FF) 선물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1bp=0.01%p) 인하 확률을 90%로,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확률을 55%로 각각 반영했다.

달러 인덱스 차트

[유로·엔·파운드 주요 통화]
유로/달러(EUR/USD)는 +0.73% 상승했다. 장 초반 독일 2분기 GDP 확정치가 전기 대비 ‑0.3%, 전년 대비 ‑0.2%로 하향 조정되면서 유로가 밀렸으나, 달러 약세 전환과 함께 반등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대한 우려도 유로 강세 폭을 제한했다.

엔/달러(USD/JPY)는 ‑0.87% 하락(엔 강세)했다. 미국 국채금리가 급락한 데다 일본 10년물 국채금리가 1.627%로 16년 만의 최고치를 경신하며 금리 차 축소 효과가 나타났다. 같은 날 발표된 7월 일본 전국 CPI는 전년 대비 3.1%(6월 3.3%)로 둔화돼 일본은행(BOJ)의 완화적 스탠스에는 변함이 없었다.

[귀금속 시장]
12월물 금(GC)은 온스당 22.90달러(+0.68%) 상승, 9월물 은(SI)은 0.461달러(+1.21%) 오르며 각각 장중 낙폭을 만회했다. 달러·미 국채금리 동반 하락에다 안전자산 수요가 겹쳤다. 최근 금 ETF 보유량은 2년 만의 최고치, 은 ETF는 3년 만의 최고치에 도달했다.

금 선물 가격

[지정학 변수]
미국 빈스 부통령은 러-우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이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영토 문제”를 중심으로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회담을 추진 중이며, 성과가 나오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3자 정상회담을 검토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향후 관세·유가·유럽 안보에 적잖은 파급 효과를 낳을 수 있다.

유럽중앙은행(ECB) 금리스왑 시장은 9월 11일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2% 수준으로 평가, 사실상 동결을 전망하고 있다.


● 용어 해설*
*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기준금리 결정 기구다. bp(basis point)는 금리 단위를 나타내며 1bp는 0.01%포인트다. ETF(Exchange Traded Fund)는 지수·상품 등을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다.

● 기자 시각
파월 의장이 ‘밸런스 오브 리스크(balance of risks)’를 강조한 점은, 향후 지표가 조금만 둔화돼도 ‘보험성 선제 인하’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보스턴 연은을 비롯한 일각의 매파적 견해, 여전히 견조한 소매 판매·임금 증가율을 감안하면 기정사실화는 이르다. 시장은 9월 FOMC 전까지 발표될 8월 고용보고서, 8~9월 CPI, ISM 제조업지수를 촘촘히 주시해야 한다.

동시에 금리 인하 기대 → 달러 약세 → 원자재 값 상승 구도로 이어질 경우, 신흥국 통화 및 코스피·코스닥 등 국내 자산에도 우호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미 증시가 사상 최고치 부근에서 호재를 선반영한 만큼, 연준의 실제 행동과 시장 기대 간 괴리가 커질 경우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 2025 Barchart & Nasdaq.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