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동향
다우존스와 S&P500, 나스닥100 지수는 20일(현지시간) 각기 다른 방향으로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전일 대비 -0.24% 하락한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4% 상승했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100 지수는 -0.58% 떨어졌다.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E-미니 S&P 선물이 -0.29%,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이 -0.64% 내렸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전일 이어진 기술주 매도세가 지수 전반을 압박하며 S&P500은 1.5주 만에, 나스닥100은 2주 만에 각각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cent Seven)’으로 불리는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 종목이 약세를 주도했다.
주요 종목 동향
애플·알파벳·아마존·테슬라가 1% 이상 하락했고, 마이크로소프트(-0.79%), 메타(-0.50%), 엔비디아(-0.14%)도 약보합세였다. 반도체주에서는 인텔이 6% 넘게 밀려 S&P500·나스닥100 모두에서 낙폭 1위를 기록했다. 마이크론(-3%대), ARM·브로드컴·마벨·램리서치(각 -1%대) 등도 일제히 떨어졌다.
개별 호·악재
유통주에서는 타깃이 연간 매출 감소 폭을 예상보다 확대해 -6% 급락했고, 에스티 로더도 2026년 희석EPS 전망 하향으로 -3% 떨어졌다. 반면 월마트는 다음날(22일) 장 개시 전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비교점포 매출 성장 기대감에 +1% 이상 상승하며 다우존스 지수 방어에 기여했다.
거시경제·정책 변수
미국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는 8월 15일 주 기준 -1.4% 감소했다. 구매·재융자 지수는 각각 +0.1%, -3.1%를 기록했으며, 30년 고정금리 평균은 전주 6.67%에서 6.68%로 1bp 올랐다.
“노동시장은 견고하지만 인플레이션 위험이 더 크다.” – 7월 29~30일 FOMC 의사록
의사록은 다소 매파적(hawkish)으로 해석되며 주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시장은 9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4%로,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55%로 반영하고 있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미국 기준금리 결정기구로,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해 금융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오토바이·자동차 부품 등 400여 소비재로 확대했다. 향후 반도체·칩에 대해 최대 300%까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해 반도체주에 추가 부담을 줬다. 중국과의 관세 유예 조치는 90일 연장됐지만, 인도·제약제품에는 추가 관세 방침을 밝히며 통상 환경이 불확실해졌다.
우크라이나 전쟁 외교적 진전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간 정상회담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 지도자들은 평화협정 일부로 영국·프랑스군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 같은 외교 협상 결과는 관세·유가·유럽 안보에 중대한 함의를 가질 수 있다.
이번 주 이벤트 캘린더
• 22일(목)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발표(예상 22만5천 건)
• 22일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전월 15.9 → 예상 6.7)
• 22일 S&P 미국 제조업 PMI(예상 49.8)
• 22일 7월 기존주택 판매(전월 대비 -0.3% 예상)
• 23일(금)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
채권·금리 시장
9월물 미국 10년물 국채 선물은 3틱 오른 반면, 현물 10년물 금리는 -1.5bp 하락한 4.291%를 나타냈다. 주식시장 약세와 기대 인플레이션 둔화(10년물 BEI 2.350%·2주 최저)가 채권 가격을 지지했다. 다만 200억 달러 규모 20년물 국채 입찰 수요 부진(응찰률 2.54, 10회 평균 2.60)과 매파적 FOMC 의사록은 상승폭을 제한했다.
유럽에서도 독일 10년물(-3.3bp, 2.717%), 영국 길트 10년물(-6.8bp, 4.672%) 등 국채 금리가 동반 하락했다.
영란은행(BoE)이 발표한 7월 영국 CPI는 전년 대비 +3.8%로, 시장 예상치(3.7%)를 소폭 상회해 1년 반 만에 가장 빠른 상승세를 보였다.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스왑시장에서 7%로 낮다.
국제증시·섹터별 흐름
유럽 Stoxx50 지수는 -0.20% 하락, 일본 닛케이225는 -1.51% 급락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래 최고치를 경신하며 +1.04% 상승했다.
한편 S&P500 2분기 실적은 93% 기업이 발표를 완료한 가운데,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시즌 시작 전 예상치(+2.8%)를 훨씬 상회했다. 이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이익 성장률이다. 83% 기업이 시장 컨센서스를 넘어선 실적을 발표했다.
📌 주가 급등락 종목
상승
• 아날로그디바이시스(ADI) +6% – 예상 상회한 3분기 매출 28.8억 달러 발표
• 허츠(HTZ) +6% – 아마존 오토스에서 중고차 판매 계획
• 레제네론 파마슈티컬스(REGN) +3% – 안과 치료제 ‘Eylea HD’ FDA 심사 일정 앞당겨질 전망
• TJX(+2%)·데이포스(+2%)·잭헨리(+2%)·맥코믹(+1%) 등
하락
• 제임스하디(-34%) – 2분기 영업이익 -29%·주택시장 침체 경고
• 라지보이(-12%) – 1분기 동일 점포 매출 -4%·2분기 가이던스 하향
• 타깃(-6%) – 연간 매출 ‘한 자릿수 초반’ 감소 전망
• 에스티로더(-3%) – 2026년 희석EPS 1.90~2.10달러, 예상치 하회
향후 실적 발표 일정(8월 21일)
인튜이트, 루이지애나퍼시픽, 로스 스토어스, 월마트, 워크데이, 줌 커뮤니케이션즈 등이 예정돼 있다.
※ 용어 해설
•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cent Seven):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알파벳·아마존·엔비디아·메타·테슬라 등 미국 시가총액 상위 7대 기술주를 통칭한다. 해당 종목의 변동성은 나스닥·S&P500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 E-미니 선물: CME(시카고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가지수 선물의 소형 계약으로, 레버리지 투자를 통해 지수 방향성을 예측·헤지할 때 사용된다.
• 비드-투-커버(Bid-to-Cover) 비율: 국채 입찰에서 총 응찰 규모를 낙찰 규모로 나눈 값으로, 수요 강도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