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DELHI — 인도 의회 교통·관광·문화위원회가 항공안전 규제기관(DGCA)과 항공 교통관제(ATC) 인력난이 심각한 안전 위협이라고 경고했다.
2025년 8월 2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보고서는 DGCA(Directorate General of Civil Aviation)가 기술·규제 요원 절반가량이 공석인 “심각하고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위원회 보고서는 인도 항공 시장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DGCA가 전체 정원 중 500여 개 이상을 채우지 못한 채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인도 항공안전 시스템의 존립 자체를 위협”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 에어인디아 보잉 787 드림라이너 추락으로 260명이 사망한 이후 실시되었다. 해당 사고는 최근 10년간 전 세계에서 발생한 최대 규모의 항공 참사다.
사고 발생 며칠 전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는 뉴델리에서 열린 연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총회에서 “항공산업의 고속 성장세가 국가 개발 목표 달성에 핵심”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DGCA 인력난은 단순한 행정적 어려움이 아니라 존립적 위험이다.” — 인도 의회 교통·관광·문화위원회 보고서
위원회는 △낡은 채용 모델 △비탄력적 절차를 근본 원인으로 지목했다. 현행 제도는 외부 채용 대행사가 인력을 선발하는 구조인데, 보고서는 이를 “느리고 융통성 없는 방식”이라고 평가하며 “고숙련 전문 인력 유치·유지에 실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간항공부와 DGCA는 이메일 질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다만 람 모한 나이두(Ram Mohan Naidu) 민간항공부 장관은 지난달 의회에서 “10월까지 190명을 우선 충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위원회는 “DGCA를 대체할 새 규제당국 설립”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전담·집중적 채용 캠페인을 조속히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관제 인력 문제도 심화
보고서는 인도의 항공 교통관제사(ATC)들이 인력 부족과 열악한 근무 계획으로 극심한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관제사는 충분한 훈련조차 받지 못한 채 근무 중이며, 공항공사(AAI)와 DGCA가 근무시간 제한 규정을 지키지 않는 ‘심각한 관행’을 드러냈다고 꼬집었다.
근무시간 제한 미준수는 피로 누적을 초래해 관제 오류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 보고서의 결론이다.
용어 해설
DGCA(Directorate General of Civil Aviation)는 인도의 민간항공 규제기관으로 항공기 인증·운항승인·안전검사 등을 총괄한다. ATC(Air Traffic Control) 관제사는 항공기의 이착륙·항로 변경 등을 실시간 지시하여 충돌·사고를 예방하는 필수 인력이다. 두 조직의 전문성은 항공 안전의 마지막 보루로 평가된다.
전문가 시각
업계 관계자들은 “인도 항공 산업이 초고속 성장하는 동안 제도·인력 시스템이 이를 따라가지 못한 전형적 사례”라고 분석한다. 특히 규제기관 결원율(약 50%)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권고치와 비교해도 이례적으로 높다. 관제사 인력난은 연속 근무·야간 근무 증가로 이어져 휴먼 에러 가능성을 가중시키는 만큼, 단순 채용 확대를 넘어 체계적 훈련·복무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한 항공안전 전문가는 “기관 신설보다도 현행 체계의 효율성 제고가 우선”이라며 “중장기적으로는 모빌리티 수요와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 규제 거버넌스 전반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향후 과제
보고서가 권고한 채용 캠페인과 조직 개편이 제때 이행되지 않을 경우, 인도는 항공 수요 급증 속에서 사고·지연·서비스 불안을 동시에 겪을 위험이 있다. 반대로 전문 인력 확보·교육 시스템 현대화를 이뤄낼 경우, 인도 항공산업은 지역 허브로 도약할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