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500(SPX), 다우존스 산업평균(DOWI), 나스닥100(IUXX) 지수는 19일(화) 장을 혼조세로 마감했다. 기준가 추종 ETF인 SPY는 –0.59%, DIA는 +0.02%, QQQ는 –1.39%로 마감했으며,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54%,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1.37% 하락했다.
2025년 8월 1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주요 지수는 반도체주와 일명 ‘매그니피센트 세븐’으로 불리는 초대형 기술주의 동반 약세에 압박을 받았다. 특히 나스닥100은 1.5주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반면, 다우존스 지수는 홈디포(HD)의 급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홈디포는 7월 동일점포 매출이 3% 증가했다는 소식에 장 초반 약세를 딛고 +3% 이상 반등했다. 같은 업종의 로우스(LOW)와 타깃(TGT)이 20일, 월마트(WMT)가 21일 각각 실적을 공개할 예정이어서 소매유통 업종 실적 시즌에 대한 투자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채권금리 하락도 주가를 방어했다.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3bp 하락한 4.30%를 기록했다. S&P글로벌은 미국의 장기 신용등급 AA+를 유지하면서 “관세수입 증가가 재정지출 확대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상당 부분 상쇄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7월 주택지표는 엇갈렸다. 주택착공은 전월 대비 5.2% 증가한 142만8천 호로 예상(129만7천 호 감소)을 크게 웃돌며 5개월 만의 고점을 나타냈다. 반면 건축허가는 –2.8% 감소한 135만4천 호로 5년 만의 최저치였다.
“주택착공은 경기 회복 신호를 주지만, 허가 감소는 향후 공급 둔화를 예고한다”는 것이 시장의 중론이다.
지정학적 측면에서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외교 협상 진전이 주목된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평화협정 안전보장 참여 약속을 받아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조속한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며, 영국·프랑스가 평화협정의 일환으로 병력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
이번 주 시장 변수
연준(Fed) 7월 29~30일 FOMC 의사록이 20일 공개된다. 22일에는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22만5천 건 예상),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6.7 예상), S&P 제조업 PMI(49.8 예상), 기존주택판매(-0.3% 예상)가 예정돼 있다. 23일(금) 제롬 파월 의장은 와이오밍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경제전망 연설을 한다.
관세 측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을 포함한 400여 소비재에 관세를 확대 적용했고,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 반도체에도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미 200~300% 관세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어 무역전쟁 재점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과의 관세 유예(90일 연장), 인도산 수입품 관세 50% 인상 계획, 의약품 관세 부과 방안도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
연방기금선물은 9월 FOMC에서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7%, 10월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을 54%로 반영한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500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애초 예상치(2.8%)를 크게 상회했으며, 보고를 마친 92% 기업 중 82%가 컨센서스를 초과했다.
해외 증시 및 금리 동향
유럽 Euro Stoxx 50은 4.75개월 만의 고점에서 +0.89% 상승했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최고치에서 –0.02% 하락, 일본 니케이225는 사상 최고치에서 –0.38% 밀렸다. 독일 10년물 국채금리는 –1.3bp(2.750%), 영국 10년물 길트금리는 +0.2bp(4.740%)로 혼조 마감했다.
미국채 10년물 9월물 선물(ZNU25)은 8틱 상승했다. 시장은 지난주 7월 CPI·PPI 상승으로 9월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동시에 반영 중이다.
개별 종목 동향
매그니피센트 세븐 약세가 시장의 발목을 잡았다. 엔비디아(NVDA) –3% 이상, 메타(META) –2% 이상, 구글(GOOGL)·아마존(AMZN)·마이크로소프트(MSFT)·테슬라(TSLA) –1% 이상, 애플(AAPL) –0.14%로 동반 약세였다.
GF증권이 투자의견을 ‘매수→보유’로 낮춘 AMD는 –5% 이상 급락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압박했다. 마벨 테크놀로지(MRVL) –5% 이상, ARM –4% 이상, 브로드컴(AVGO) –3% 이상, 퀄컴(QCOM)·온세미컨덕터(ON)·마이크론(MU) 등 다수 반도체주가 1% 이상 하락했다.
바이킹 테라퓨틱스(VKTX)는 경구 비만 치료제 2상 시험에서 28%의 중도 중단율이 나타나 –42% 폭락했다. 파브리넷(FN)은 데이터통신 부문 부품 부족을 이유로 1분기 매출 감소를 예고하며 –12% 하락했다.
아머 스포츠(AS)는 3분기 조정 영업마진 전망(12~13%)이 기대(13%)에 못 미쳐 –4%대 약세를 보였고, 버티브(VRT)도 GLJ리서치가 ‘매도’ 의견과 112달러 목표가를 제시해 –4%대 하락했다.
메드트로닉(MDT)은 1분기 조정 영업마진 23.6%가 시장예상(23.7%)을 밑돌아 –2% 하락했다.
반면 인텔(INTC)은 소프트뱅크가 20억 달러 규모 지분 매입에 나서 +6% 급등하며 S&P500과 나스닥1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물류주인 JB헌트(JBHT), 나이트-스위프트(KNX)는 +3% 이상, 올드도미니언(ODFL)·페덱스(FDX)·슈나이더(SNDR)는 +2% 이상, CSX는 +1% 이상 상승했다.
프로로지스(PLD)는 미즈호증권의 ‘중립→아웃퍼폼’ 상향과 118달러 목표가 제시에 +5% 상승했다. 베스트바이(BBY)는 제3자 판매 플랫폼 론칭으로 온라인 상품 수가 두 배 이상 늘어난다는 소식에 +3% 이상 올랐다. 팔로알토네트웍스(PANW)는 2026년 매출 가이던스(104.8~105.3억 달러)가 컨센서스(104.4억 달러)를 상회해 +3% 강세를 나타냈다.
향후 실적 일정
20일(수) 아날로그디바이시스(ADI), 코티(COTY), 에스티로더(EL), 로우스(LOW), 노드슨(NDSN), 타깃(TGT), TJX(TJX)가 실적을 발표한다.
※ 기술 용어 해설
E-미니(E-mini) 선물은 CME거래소가 제공하는 축소형 주가지수 선물로, 개인투자자가 적은 증거금으로도 지수 투자·헤지가 가능하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은 시가총액 상위 7대 빅테크(애플·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알파벳·메타·엔비디아·테슬라)를 통칭한다. FOMC는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회의, PMI는 제조업·서비스업의 경기 확장·위축을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본 기사에서 제시된 수치와 전망은 19일 장 마감 기준이며, 향후 시장 상황과 정치·지정학 변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