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진전 기대감에 유로화 강세·달러 약세…美 주택지표는 엇갈려

[외환·원자재 시장 동향]

미 달러화 지수(DXY)가 19일 장중 -0.08% 하락하며 약세를 이어갔다. 이날 달러 약세의 주된 배경은 미 국채(이하 T-노트) 금리 하락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협상이 진전을 보였다는 소식이다.

2025년 8월 19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강력한 안보 보장’을 즉시 마련하기로 합의하면서 유로/달러(EUR/USD) 환율은 장중 +0.05% 상승했다. 반면 최근 발표된 7월 미국 소비자물가(CPI)·생산자물가(PPI)가 예상치를 웃돈 탓에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 인하가 지연될 가능성이 제기돼 달러 낙폭은 일부 제한됐다.


1. 미국 주택시장 지표 — ‘스타트는 증가, 퍼밋은 부진’

같은 날 발표된 미 주택 지표는 엇갈렸다. 7월 주택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5.2% 늘어난 142만 8,000채(연율 기준)로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129만 7,000채 감소)와 상반된 ‘깜짝’ 결과를 냈다. 그러나 건축허가-2.8% 감소한 135만 4,000건으로 5년 만의 저점에 머물렀다. 이는 향후 건설 경기 둔화를 시사해 달러 지수의 추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건축허가 부진은 산업금속 수요 둔화를 의미할 수 있다”며 시장 참여자들은 은 가격 하락을 주목했다.


2. 연준 금리 전망 — ‘50bp 인하 기대는 완전히 소멸’

7월 PPI 발표 직후 연방기금선물(FF) 시장은 9월 회의에서 -50bp(0.50%포인트) 인하 가능성을 전면 배제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현재 -25bp 인하 확률은 84%, 10월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확률은 53%로 후퇴했다.

투자자들이 자주 헷갈리는 ‘FF 선물’은 연방기금금리(미 은행 간 초단기 대출금리)의 향후 방향을 베팅하는 파생상품이다. 해당 가격이 상승하면 금리 인하 기대가 커졌음을 의미한다.


3. 유럽중앙은행(ECB) — ‘9월 동결 가능성 94%’

유럽 금리 스왑 시장은 9월 11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6%로 가격에 반영 중이다. 이는 ‘동결’ 시나리오가 우세하다는 뜻이다.


4. 달러·엔·유로 환율 동향

EUR/USD는 1.095달러 부근으로 상승했고, 달러/엔(USD/JPY)은 -0.17% 하락해 144엔대로 내려섰다. 일본 10년물 국채금리(1.604%)가 3주 최고치를 기록하며 엔화 금리 매력도가 높아진 영향이다.

투자자 입장에서 T-노트 수익률JGB(일본국채) 수익률 차이는 금리 차익 거래의 핵심 지표다. 미국 금리가 내려가거나 일본 금리가 오르면 엔화가 강세를 띠기 쉽다.


5. 안전자산 금·은 — ‘달러 약세 vs. 위험온 회복’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0.40달러(+0.01%) 상승했으나, 9월물 은 선물은 온스당 0.129달러(-0.34%) 하락했다. 달러 약세와 국채금리 하락이 금 가격을 지지했지만,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진전에 따른 위험선호 회복이 안전자산 수요를 일부 상쇄했다.

지난주 금 상장지수펀드(ETF) 보유량은 2년 만의 최고치, 은 ETF 보유량은 3년 만의 최고치를 각각 경신하며 펀드 매수세가 견고함을 재확인했다.


6. S&P 글로벌, 美 국가신용등급 ‘AA+’ 유지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미국의 장기 국가신용등급 AA+, 단기 등급 A-1+를 모두 유지한다고 발표했다. 기관은 최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지출 확대에도 관세 수입이 재정 악화를 상쇄할 것으로 평가했다.


7. 트럼프 대통령-유럽 지도부 회동 — ‘러·우 전쟁 종전 로드맵’

시장 참여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유럽 정상 간 평화회담을 주시하고 있다. 회담 결과는 관세·유가·유럽 안보를 포함한 거시경제 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8. 전문용어 해설

1T-노트 수익률: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만기 2~10년 중기 국채의 시장 금리를 의미한다. 채권 가격이 오르면 수익률은 하락한다.
2DXY: 유로·엔·파운드·캐나다달러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상대 가치를 지수화한 것.
3스왑(Swap):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정책금리를 파생상품 형태로 거래하는 계약.
4주택착공·건축허가: 착공은 실제 공사 시작 건수, 허가는 지방정부가 발급하는 허가서 건수로 미래 건설경기를 가늠하는 선행지표다.


EUR/USD 차트

Gold Futures 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