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의 옥수수 선물 가격이 18일(월) 장 마감 기준으로 혼조세를 보였다. 9월물은 0.75센트 하락해 부셸당 3.83달러에 거래를 마쳤으나, 그 밖의 근월물은 1~2센트 상승하며 강보합권에 머물렀다. 미국 전역 현물 평균가(CmdtyView 기준) 역시 전일 대비 1센트 내린 부셸당 3.65와 3/4센트를 기록했다.
2025년 8월 19일(현지시간),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 농무부(USDA)는 이날 아침 신곡(2025/26년산) 옥수수 12만4,000t을 ‘미확인 목적지(unknown destinations)’로 수출 계약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대두·밀 등 곡물 시장 심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해석된다.
“옥수수 선물 가격이 대체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수출 수요가 일정 부분 방어벽 역할을 하고 있다.”
라는 현지 브로커 의견이 전해졌다. 나스닥닷컴은 또한 Barchart 무료 뉴스레터를 통해 원유·커피 등 전체 상품시장의 분석 리포트를 제공 중이라고 덧붙였다.
■ 주간 작황 보고서(Crop Progress)
USDA가 같은 날 오후 내놓은 ‘주간 작황·진척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옥수수밭의 97%가 출사(silking) 단계에 진입했으며 72%는 반죽(dough) 단계에 도달해 각각 평년보다 1%p 느린 것으로 집계됐다. 27%는 낙립(dented), 3%는 성숙(mature) 단계로 확인됐다. 전주 대비 작황 지수는 1포인트 내려 71%(양호·우수)로 평가됐고, 브루글러500(Brugler500) 지수는 382포인트를 기록했다.
실링(silking)·도(ugh)·덴트(dented) 등 생육 단계는 평소 농업 전문 용어에 익숙지 않은 독자를 위해 다음과 같이 풀이된다. ‘출사’는 옥수수 수염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반죽’은 낟알 내부 수분이 줄어들며 반죽처럼 변하는 단계다. ‘낙립’은 낟알 끝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시점을 뜻한다. 이 지표들은 수확량 및 품질 전망을 가늠하는 핵심 잣대다.
■ ProFarmer 작황 투어 개시
연례 ProFarmer 작황 투어가 이날 오전 출발해 X(구 트위터) 실시간 게시물로 현지 수확 잠재력을 공유했다. 초기 조사 결과 주(州)별 수확 잠재량에는 변동성이 있었으며, 오하이오·사우스다코타에 대한 세부 수치는 당일 저녁 발표될 예정이다.
■ 수출 선적(Export Inspections)
USDA가 집계한 8월 14일 주간 선적량은 105만t(4,136만 부셸)로, 전주 대비 30.99% 감소했고 전년 동기 대비 13.7% 줄었다. 멕시코가 37만6,919t으로 최대 목적지였고, 일본 17만3,622t, 대한민국 13만2,555t이 뒤를 이었다. 2024/25 마케팅연도 누적 선적량은 6,422만t(25억2,800만 부셸)로 전년 대비 28.0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 브라질 산지 동향
브라질 농업 컨설팅업체 아그루랄(AgRural)은 중남부 지역의 2기작(safrinha) 옥수수 수확률을 94%로 추정했다. 2025/26년도 1기작(first crop)은 1.6% 파종 완료됐다. 브라질은 세계 2위 옥수수 수출국으로, 미국 옥수수 가격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
■ 시세 종합
9월물(2025년) 3.83달러 ▼0.75센트
현물가(인도 즉시) 3.65와 3/4센트 ▼1센트
12월물(2025년) 4.06와 1/2센트 ▲1.25센트
3월물(2026년) 4.24와 1/4센트 ▲1.75센트
신곡 현물가 3.61와 3/8센트 보합
■ 저자·정보 고지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는 해당 증권에 직·간접 보유 지분이 없다고 밝혔다. 본 자료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조언이 아님을 명기한다. 자세한 내용은 Barchart 공시 정책을 참고할 수 있다.
■ 추가 해설: 지표·용어 정리
브루글러500(Brugler500) 지수는 미 곡물 전문 리서치사 브루글러가 작황 상태를 0~500 범위로 환산한 스코어다. 500에 가까울수록 작황이 뛰어나다. ‘Dough’·‘Dented’ 단계는 생육 후반부로, 이후 ‘Mature(성숙)’·‘Harvested(수확)’ 단계로 이어진다. 이들 데이터는 시장 참가자의 가격 결정에 직접 반영된다.
또한 ‘사프리냐(safrinha)’란 브라질의 두 번째(겨울) 파종을 의미하며, 기후 리스크가 높지만 국제 시장에 큰 공급 물량을 제공한다. 이렇듯 북반구·남반구 작황이 시차를 두고 발표되기 때문에, 트레이더들은 연중 내내 수급 패턴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미 달러화 강세와 브라질 환율(헤알화) 변동성도 수출 경쟁력에 영향을 준다”면서, 올 하반기 옥수수 시장이 수급·통화·에너지 가격이라는 세 갈래 변수에 의해 좌우될 가능성을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