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월가에서는 인텔(Intel·나스닥: INTC) 주가가 5% 밀리며 장을 마감했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 지분 약 10%를 취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를 내놓은 직후 나타난 움직임이다.
2025년 8월 18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 연방정부는 ‘칩스·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통해 인텔에 지급하기로 한 109억 달러(한화 약 14조 5,000억 원) 규모의 보조금을 지분 투자(equity) 형태로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약 10% 지분은 105억 달러에 해당한다.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구체적 지분율과 전환 시기는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며 “행정부가 실제로 계획을 실행할지 역시 미정”이라고 전했다. 백악관 역시 “세부 사항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칩스·과학법이란 무엇인가
2022년 제정된 칩스·과학법은 미국 내 반도체 생산·연구 강화를 목표로 총 527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세액공제를 제공한다.
보조금(grant)은 정부가 기업 또는 기관에 무상으로 지급하는 자금을 뜻하며, 지분 투자는 정부가 해당 기업 주식을 매입해 주주(shareholder)가 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부가 보조금을 주식으로 바꿀 경우, 국고 손실을 줄이는 한편 기업 경영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시장 반응도 엇갈렸다. 지난주 지분 투자 가능성이 처음 보도되자 인텔 주가는 23% 급등하며 2월 이후 최대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러나 18일(현지 시각) 월요일 투자자들이 정부 참여에 따른 경영 간섭 위험을 재평가하면서 주가는 다시 하락세로 전환됐다.
정부 지분 참여, 득인가 실인가
전문가들은 정부가 대규모 주주로 참여할 경우 ‘국가 전략산업 보호’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정책 변화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불확실성’이 동시에 커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반도체 같이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업종일수록 정부 보조가 경쟁력의 핵심이지만, 지분 구조 변화는 경영진 의사결정 속도와 리스크 관리 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같은 법에 따라 보조금을 받은 다른 반도체 업체들도 ‘주식 전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있지만, 정부 내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됐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업계 일부에서는 “정치권 리스크가 증폭될 가능성”을 우려한다.
증권가 시각도 혼조다. 일부 애널리스트는 “정부 지분 참여는 자본 비용 절감과 함께 공급망 안정성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긍정 평가했다. 반면 다른 쪽에서는 “단기적으로는 호재이나, 장기적 가치 희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한편, 주식 지분(equity stake)이란 투자자가 회사 주식을 취득함으로써 소유권을 확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기업의존속가치·배당·의결권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정부가 보조금 대신 지분을 취득하면 회사 경영 의사결정에도 일정 부분 목소리를 낼 수 있다.
향후 관전 포인트
첫째, 상무부와 백악관이 최종적으로 어떤 지분율을 확정할지가 최대 관심사다. 둘째, 다른 칩스법 수혜 기업—예컨대 TSMC 애리조나 법인,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셋째, 주주 가치 희석을 우려한 시장이 앞으로 몇 주간 어떻게 방향성을 잡을지가 주가 향방을 좌우할 전망이다.
최종 결정 시점과 구체적 조건이 나오기 전까지는 변동성이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 다수 시장 전문기관의 공통된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