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정상들, 트럼프와 회동 앞두고 ‘3대 목표’ 설정…안보 보장·민간 피해 중단·삼자 회담 성사가 핵심

워싱턴 D.C.유럽연합(EU) 및 주요 회원국 정상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만날 예정이다. 이틀 전 알래스카에서 열린 미·러 정상회담 이후 트럼프 대통령이 대(對)러시아 제재에 한층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유럽 측은 우크라이나 입장을 지지하기 위해 총력전에 나섰다.

2025년 8월 18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탈리아 조르자 멜로니 총리, 핀란드 알렉산데르 스투브 대통령 등 트럼프 대통령과 비교적 친밀한 관계를 구축해 온 지도자들이 대거 방미한다. 이들은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과 함께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에게 ‘유럽과 동일한 목표’를 공유할 것을 요구할 계획이다.

EU 고위 외교관은 “이번 회담의 주목적은 젤렌스키 대통령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과 동일한 목표를 갖도록 확실히 하는 것“이라고 CNBC에 말했다. 그는 또 안보 보장(SECURITY GUARANTEES), 민간인 학살 중단(STOP THE KILLING), 그리고 트럼프·푸틴·젤렌스키 3자 회담(THREE-WAY SUMMIT)을 세 가지 핵심 의제로 제시했다.


1. 안보 보장 — ‘나토 5조’에 준하는 안전판 요구

젤렌스키 대통령은 전쟁이 종결되더라도 우크라이나가 나토(NATO) 정식 회원국이 되지 못할 가능성을 우려해, ‘나토 북대서양조약 5조(Article 5)’와 유사한 다자 안보 메커니즘을 요구하고 있다. Article 5는 회원국 한 곳에 대한 무장 공격을 모든 회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 공동 방위를 의무화한다.

미국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후(戰後) 우크라이나에 대해 유럽·미국이 이런 방식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원칙적으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또 다른 EU 관계자는 “형식은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 어떤 군사력과 자금이 투입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제임스 빈더나겔 전 미국 외교관은 CNBC ‘Europe Early Edition’에서 “이 모델은 ‘나토군’이 아닌 ‘서방 연합군’이 우크라이나에 상주해 휴전 위반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며, ‘회색지대 안보 모델’이 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2. 민간인 학살 중단 —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휴전선 동결

푸틴 대통령은 최근 도네츠크·루한스크 전면 철군을 우크라이나에 요구하는 동시에, 남부 헤르손·자포리자 지역 전선을 ‘동결’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가로는 즉각적 전쟁 종식이 거론됐지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를 “미래 러시아 재침략의 도약대“라며 일축했다.

EU 집행위원장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은 17일 성명에서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지속되는 한, 유럽은 외교적·경제적 압박 수단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9월 초 발표 예정인 19차 대러 제재 패키지를 예고했다.

이처럼 유럽은 ‘휴전선 동결’과 ‘영토 양보’라는 러시아 측 구상을 일축하면서도, 최소한 민간인 피해를 멈추기 위한 방어적 조치를 긴급히 모색하고 있다.


3. 삼자 회담 — 트럼프·푸틴·젤렌스키 동시 출격 성사 여부

EU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3자 정상회담 계획을 공식화해 달라고 설득할 방침이다. 알래스카 회담 직후 트럼프는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구체적 일정이나 장소는 아직이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어려운 시기이지만, 우크라이나만이 스스로의 운명을 선택할 수 있다“며, 젤렌스키 대통령 참여가 전제된 협상만이 국제적 정당성을 지닐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 시각: ‘전후 안보 체제’가 글로벌 증시에 미칠 파장

국제금융계는 ‘휴전 합의→서방군 상주→우크라이나 재건 투자 본격화’ 시나리오에 주목하고 있다. 유럽계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안보 보장이 확정되면 우크라이나 국채 스프레드가 단계적으로 축소될 것”이라며, 재건 섹터 ETF원자재·에너지 기업에 대한 자금 유입을 전망했다.

반면, 회담이 무산되거나 안보 모델이 불명확할 경우 브렌트유 가격 변동성 확대, 러시아·유럽 간 가스 공급 불확실성이 재부각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곧 유럽 중앙은행(ECB) 통화정책, 연준(Fed) 금리 경로에도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용어 설명

나토 5조(Article 5): 1949년 체결된 북대서양조약(NATO)의 핵심 조항으로, 회원국 한 곳이 공격받으면 나머지 모든 회원국이 집단 방어에 나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 실제로 발동된 것은 2001년 9·11 테러 직후 한 차례뿐이다.

회색지대 안보 모델: 전통적 군사 동맹이 아닌 다자 파트너십 형태로 안전을 담보하는 방식으로, 상황에 따라 ‘합동평화유지단’이나 ‘특수임무군’이 파견되는 변형된 안보 구조를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유럽 정상들은 이번 백악관 방문을 통해 ‘안보 보장’의 실질화, ‘민간 피해 중단’의 가시적 조치, ‘삼자 회담’의 공식화라는 세 갈래 목표를 달성하려 한다. 이는 단순히 전쟁 종식 이상으로, 유럽 안보 구조와 글로벌 시장 안정성을 좌우할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