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에게 ‘10달러를 100만 달러로 불리려면?’ 묻자 돌아온 3단계 전략

미국 UBS가 최근 발간한 ‘글로벌 웰스 리포트( Global Wealth Report )’에 따르면, 미국 내 백만장자는 약 2,400만 명에 달한다. 거리마다 부(富)의 상징이 넘쳐나는 듯한 현실 속에서, ‘과연 나도 부자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까’라는 물음은 자연스럽다.

2025년 8월 17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필자는 생성형 AI 챗봇 ‘ChatGPT’에게 고작 10달러로 100만 달러(약 13억 원)를 만드는 방법을 물었다. AI는 불가능하지 않다고 답하면서도 “시간·기술·운, 그리고 꾸준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실적 장기전략, 중간 위험·고노력 전략, 고위험·저확률 전략 등 세 갈래 로드맵을 제시했다.


1. 현실적 장기 전략: 인덱스 투자 vs. 저비용 창업

ChatGPT가 가장 먼저 추천한 길은 ‘복리(compounding)’를 기반으로 한 S&P 500 지수 펀드 투자다. 매달 100달러씩 추가 투자해 연 10% 수익률을 유지한다면 35~40년 뒤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여기서 ‘인덱스 펀드’란 특정 시장지수(S&P 500 등)를 그대로 추종해 낮은 수수료로 장기 분산투자를 할 수 있는 상품을 뜻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10달러만으로는 기초자산이 지나치게 작다”고 지적한다.

피델리티(Fidelity)는 투자 목적(대개 은퇴)을 명확히 설정한 뒤, 개인별 위험 성향에 맞는 계좌 유형과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권고한다.

이에 따라 재무 설계사와의 상담이 선행돼야 변동성이 큰 증시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다.

두 번째 장기 옵션은 저비용 온라인 사업이다. 10달러로 도메인을 구매해 블로그를 개설하거나 디지털 상품(전자책·템플릿 등)을 판매하라는 제안이다. 겉보기엔 간단하지만, 검색엔진 최적화(SEO)·콘텐츠 기획·마케팅 등 전문 역량이 필수라는 현실적인 장벽이 존재한다.


2. 중간 위험·고노력 전략: 뒤집기(Flipping)·아비트라지·기술 습득

다음 단계는 ‘노동집약적’이면서도 기술·규모·노력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플리핑(Reselling)아비트라지(Arbitrage)는 저가 시장에서 산 물건을 이베이·크레이그리스트 같은 플랫폼에서 고가로 되파는 방식이다. 여기서 ‘아비트라지’란 시장 간 가격 차이를 이용해 무위험 수익을 추구한다는 금융 용어다.

또 다른 제안은 새로운 기술 학습에 10달러를 투자한 뒤, 그 기술을 프리랜서 플랫폼에서 수익화하는 모델이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발간한 ‘Future of Jobs Report 2025’는 “향후 5년 내 39%의 노동자가 기존 기술 세트가 대체·변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즉, 지속적 재교육과 업스킬링이 장기적 부 창출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3. 고위험·저확률 전략: 가상자산·페니주·복권

“마지막 방법은 사실상 도박에 가깝다”고 ChatGPT는 선을 그었다. 10달러를 암호화폐페니주(penny stock)에 넣거나, 복권·카지노에 건다는 시나리오다. 말 그대로 한 방에 0을 몇 개 더 붙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원금 전액 손실로 귀결될 확률이 압도적이다.

암호화폐는 24시간 거래되는 변동성 극대 시장이며, ‘페니주’는 주당 5달러 미만의 초저가 종목으로 거래량·정보 투명성이 낮다. 전문가들은 “투기적 자산군에선 잃어도 괜찮은 금액만 투자하라”고 강조한다.


전문가 한마디

개인재무설계사 안성현(가명)은 “‘복리 효과’를 체감하려면 시드머니를 가능한 빨리 불리는 것이 핵심”이라면서 “투자를 시작할 때 비상금 6개월치를 확보해 리스크를 관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온라인 사업은 낮은 초기 비용이 장점이지만, 지속적인 트래픽 유입 없이는 수익이 제한된다”고 부연했다.


용어풀이

• 인덱스 펀드 – 특정 주가지수를 그대로 따라가는 펀드로, 저비용·분산투자가 특징이다.
• 복리(Compounding)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로, 시간의 함수에 따라 기하급수적 성장이 가능하다.
• 아비트라지 – 동일 자산을 두 시장에서 동시에 매매해 가격 차익을 얻는 기법이다.
• 페니주 – 주가가 5달러 이하로, 유동성과 정보 공시가 부족해 고위험에 속한다.


본 기사는 GOBankingRates.com 원문 ‘I Asked ChatGPT How To Turn $10 Into $1 Million: Here’s What It Said’를 한국어로 번역·재구성한 것이다. 기사에 포함된 견해는 필자 개인 의견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