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제가 7월 들어 다시 급격히 속도를 잃었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베이징 당국이 과잉 생산능력(Over-capacity) 억제에 박차를 가하면서 주요 지표가 일제히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2025년 8월 15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통계국(NBS)이 이날 발표한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에 그쳐 로이터(Reuters) 설문에서 제시된 4.6% 증가 전망을 큰 폭으로 밑돌았다. 이는 6월 4.8% 증가 대비 뚜렷한 둔화다.
같은 기간 산업생산(Industrial Output)도 전년 대비 5.7% 증가하는 데 그쳤다. LSEG(런던증권거래소그룹) 데이터1 기준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시장 기대치(5.9%)에도 미달했다.
“상반기 경기 호조를 이끌었던 정부 부양 효과와 선제적 무역(Pre-emptive Trade)이 소진되면서 하반기에는 성장 둔화가 불가피했다.” — 티앤천 쉬(Tianchen Xu),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 수석 이코노미스트
고정자산투자(FAI)는 올해 1~7월 누적 기준 1.6% 증가해, 전문가 예상치(2.7%) 및 상반기 2.8% 증가에서 모두 후퇴했다. 특히 부동산 개발 투자는 같은 기간 12% 급감하며 낙폭이 커졌다.
고용시장도 흔들렸다. 7월 전국 도시 실업률은 5.2%로 5·6월 5.0%에서 소폭 상승했다. 16~24세(대학생 제외) 청년층 실업률은 1년 넘게 14%를 웃돌고 있다.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5.3% 성장하며 연간 목표치(5%) 달성 가시권에 들어섰지만, 전문가들은 “연간 성장률이 목표를 밑돌 가능성”을 경고하며 추가 정책 지원을 요구했다.
무역 갈등 완화에도 구조적 불확실성 지속
베이징과 워싱턴은 11일(현지시간) 관세 유예(Tariff Pause)를 90일 연장하기로 합의해 11월 중순까지 고율 관세 부과를 피했다. 그러나 기술 접근권·핵심 광물·산업정책·지정학 등 핵심 쟁점은 여전히 미해결 상태다.
“큰 정치적 결단은 미·중 정상회담에서 최종 조율될 전망이다.” — 징 치앤(Jing Qian),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ASPI) 중국분석센터 공동설립자兼전무이사
전문가 시각·추가 해설
LSEG는 영국 런던증권거래소그룹이 제공하는 데이터·분석 플랫폼으로, 전 세계 금융기관이 산업·시장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때 활용한다.
The Bund(와이탄)은 상하이 황푸강 서안(외탄)을 따라 조성된 역사적 금융가(街)로, 중국 근대 개항 이후 서구식 건축물이 밀집해 있다. 관광객뿐 아니라 외신 사진·영상의 상징적 배경으로 자주 등장한다.
현재 중국 정부는 ‘새로운 생산능력 규제(New Capacity Regulation)’를 통해 철강·신에너지차·태양광 패널 등에서 과잉 투자를 억제하고 있다. 이는 단기적으로 성장률을 낮추지만,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급락과 디플레이션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필자는 하반기 추가 통화·재정 완화가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다만 과잉부채와 구조적 개혁 필요성이 맞물려 ‘전면적 대규모 부양’ 대신 핀셋형 지원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또한 미·중 고위급 협상이 11월 이전 가시적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 연말 대외수요 회복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
결국 중국 정부는 내수 회복을 위한 소비 쿠폰·세제 완화·도시 기반시설 투자를 병행하면서, 청년층 고용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설정해야 한다. 청년 실업률이 완화되지 않을 경우, 장기 성장잠재력 훼손은 물론 사회적 불만이 확대될 위험이 존재한다.
시장 참여자는 앞으로 발표될 8월 제조업·서비스업 PMI, 9월 공산당 20기 5중전회(예정) 정책 방향, 그리고 미·중 정상회담 개최 여부를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한다.